영어 격차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격차/차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6562

STNet ID : 9005095

한자 : 英語 隔差

c03-02 격차/차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도농간 교육격차 () [ 都農間敎育隔差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사교육 [ 私敎育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교육비 [ 私敎育費 ]

가정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The Effect of Family's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가정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영어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The Effect of Family's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원어민 영어수업 정책의 실효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Program in Korea (EPIK)

교육사회학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

EBS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한 농촌 초등 3학년 6명의 자기 주도적 영어학습 사례 연구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1 | 2010 | 영어교육

EBS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한 농촌 초등 3학년 6명의 자기 주도적 영어학습 사례 연구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1 | 2010 | 영어교육

초등학교 영어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초등학교 영어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2 | 2010 | 영어교육

영어격차 현상에 대한 연구: A기업 사례연구

English divide perceived by employees: A case study of "A" corporat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2 | 2012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