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연구분야 : B1205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평가

클래스 : 정책(제도)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7403

한자 : 國家英語能力評價試驗
영어 :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y05-03 정책(제도)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문약어

 

NEAT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 기관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韓國敎育課程評價院 ]

RT (관련어)

관련 기관

 

국립국제교육원

쓰기 사례 분석에 기초한 영어 쓰기 지도 방법의 논의

A Discussion on English Writ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of Writing Sample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검사지 구성의 원칙과 절차: 문항 유형 확정 모델

영어어문교육 | 16 | 4 | 2010 | 영어와문학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검사지 구성의 원칙과 절차: 문항 유형 확정 모델

영어어문교육 | 16 | 4 | 2010 | 영어와문학

국가영어능력평가 쓰기 영역 교수 및 평가를 위한 한국인 영어교사의 역할 적절성 연구

Korean English Teachers' Adequacy in Teaching and Evaluating NEAT Writing Sec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5 | 1 | 2012 | 교육학

대학수학능력 외국어시험 대안으로서 NEAT에 대한 인식: 사례연구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NEAT as an Alternative English Test to the Current Scholastic One: A Case Study

외국어교육연구 | 26 | 2 | 2012 | 외국어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