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삼국지연의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9810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역총해』의 한글 번역과 판본학적 고찰 - ‘사람을 인정함이 되느냐’ 어구를 중심으로-

『三譯總解』 的滿文底本與其漢文底本比較硏究 - 以 「關雲長千里獨行」 篇中所見矛盾語句爲中心 -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 79 | 2010 | 미술사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A Study on a Vogue of Sijo Depicting Characters in History of Three States and the Historical Cause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A Study o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How It was Received and Perceived in Korea and Japan-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A Study o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How It was Received and Perceived in Korea and Japan-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Rewriting Three Kingdoms: The Practice by Modern Korean Writers of Translating/Revising a Chinese Classic

중국문화연구 | 20 | 2012 | 중국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