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억

연구분야 : E150201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 자아심리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0164

한자 : 誤記憶
영어 : false memory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추상착각 [ 追想錯覺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자생성 강박사고 () [ 自生性强迫思考 ]

정서와 망각 유도 지시가 DRM 패러다임에서 실제기억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 and Directed Forgetting on True and False Memories in DRM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정서와 망각 유도 지시가 DRM 패러다임에서 실제기억과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 and Directed Forgetting on True and False Memories in DRM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1 | 2010 | 심리과학

외상경험과 양측성 안구운동이 외상 및 중성 기억에 미치는 영향: DRM 패러다임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 and bilateral eye movements on trauma-related and neutral memory: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DRM paradigm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1 | 2 | 2012 | 심리과학

노인 고정관념의 억제와 오기억: 목표점화(goal priming) 및 망각지시의 비교

Stereotype Control and Memory Illusion: A Comparison between Goal Priming and Forget Instruc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 2 | 2011 | 심리과학

부호화 시 인지적 노력과 기억 왜곡에 대한 경고지시가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Effort at Encoding and Warning on False Memory in DRM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2 | 2010 | 심리과학

부호화 시 인지적 노력과 기억 왜곡에 대한 경고지시가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Effort at Encoding and Warning on False Memory in DRM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2 | 2010 | 심리과학

DRM 패러다임에서 정서가와 인지적 노력이 오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valence and Cognitive Effort on False Memory in DRM paradig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3 | 4 | 2011 | 심리과학

소비자의 기억은 정확한가?: 브랜드 과부하, 사건의 방향성, 브랜드 간 속성 거리가 기억 오류에 미치는 영향

Do consumers remember correctly?: Effects of brand overload, event valence, and brand distance

마케팅연구 | 27 | 3 | 2012 | 경영학

유도된 정서와 요점흔적에 기인한 오기억

Induced mood and false memories based on gist-trac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

유도된 정서와 요점흔적에 기인한 오기억

Induced mood and false memories based on gist-trac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2 | 3 | 2010 | 심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