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의식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0247

한자 : 罪意識
영어 : guilt
영어 : sense of guilt
영어 : guilty conscience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죄罪 () [ 罪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1 감정 감정

부정적 정서 () [ 否定的情緖 ]

R1:개념적

RT (관련어)

유사어

c02-01 감정 감정

죄책감 () [ 罪責感 ]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age of ‘Vanishing Bride’ Representing the Loss and Melancholy of the Male-Subject -The Study on the Oral Narrative of "the Bride Deserted on Wedding Night"-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 <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The Duet between the Horror and the Guilt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공포와 죄의식의 이중주: <장화, 홍련>, <거미숲>, <소름>을 중심으로

The Duet between the Horror and the Guilt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포의교집> 주인공 초옥의 反烈女적 성격

The Anti-chaste Nature of Cho-ok the Heroine of Poeuigyojip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미카엘 하네케의 <히든>: 포스트모던 인식론과 포스트콜로니얼 서사의 불편한 조우

Close Encounters of Postmodern Epistemology and Postcolonial Narrative in Michael Haneke’s Caché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마르크시즘의 틈과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 김남천의 「녹성당(綠星堂)」론

A Crack in Marx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Banding Together: A Study on Kim Nam-Cheon’s Nokseongdang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졸라의 소설 「테레즈 라켕Thérèse Raquin」의 인물 연구

Une analyse du personnage dans Thérèse Raquin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죄의식이 추동하는 자기희생: <올드보이>를 중심으로

Self-Sacrifice Driven by Guilt in Old Boy

영상예술연구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죄의식이 추동하는 자기희생: <올드보이>를 중심으로

Self-Sacrifice Driven by Guilt in Old Boy

영상예술연구 |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자의식의 발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sciousness in 60s' Novels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종삼 시의 소리지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vity of Sound in Kim Jong-sam’s Poem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김종삼 시의 소리지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vity of Sound in Kim Jong-sam’s Poem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金宗三 시의 윤리적 양상

The Ethical Aspect of the Poetry of Kim, Jong-sam(金宗三)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金宗三 시의 윤리적 양상

The Ethical Aspect of the Poetry of Kim, Jong-sam(金宗三)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도덕적 우연(Moral Luck)과 책임에 관한 소고

A study on moral luck and responsibility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슬픔의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Cure of Sadness

신학과 실천 | 23 | 2010 | 기독교신학

슬픔의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Cure of Sadness

신학과 실천 | | 23 | 2010 | 기독교신학

「歯車」 小考Ⅰ 상징의 세계

A Study on The Toothed Wheel: The World of Symbolism

일본어문학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歯車」 小考Ⅰ 상징의 세계

A Study on The Toothed Wheel: The World of Symbolism

일본어문학 |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문학연구 -기독교관을 중심으로-

太宰治の文学研究 -キリスト観をめぐって-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T.S.엘리엇의 기독교 신앙

A Christian Faith in T. S. Eliot's Works

T. S. 엘리엇연구 | 22 | 1 | 2012 | 영어와문학

『롤리타』의 분신과 님펫: 자기 정화와 자기 정당화

The Theme of Self-purification and Self-justification in Vladimir Nabokov's Novel Lolita

슬라브硏究 | 26 | 2 | 2010 | 지역학

『롤리타』의 분신과 님펫: 자기 정화와 자기 정당화

The Theme of Self-purification and Self-justification in Vladimir Nabokov's Novel Lolita

슬라브硏究 | 26 | 2 | 2010 | 지역학

인륜성과 죄의식

Sittlichkeit und Schuldbewußtsein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urning and sense of guilt in Park Wan-seo's works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수치심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s of Shame and Its Development

도덕윤리과교육 | 31 | 2010 | 교육학

수치심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s of Shame and Its Development

도덕윤리과교육 | | 31 | 2010 | 교육학

수치심과 죄의식의 구분 - G. Taylor와 H. B. Lewis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inctions between Shame and Guilt based on G. Taylor and H. B. Lewis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수치심 문화와 죄의식 문화 -미드(M. Mead)의 외적 제재와 내적 제재의 대립을 중심으로-

Shame Culture and Guilt culture -A study on M. Mead's antithesi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sanctions-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죄의식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guilt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죄의식의 기원과 발달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guilt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다시 태어나는 고통(生れ出づる悩み)』에 보이는 죄의식 고찰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of Arisima Takeo's literary work, 'Umareizurunayami'

일본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다시 태어나는 고통(生れ出づる悩み)』에 보이는 죄의식 고찰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of Arisima Takeo's literary work, 'Umareizurunayami'

일본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in Sohn Chang-sup's Works of the 1950's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guilt in Sohn Chang-sup's Works of the 1950's

한국학논집 | | 4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