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문화

연구분야 : B201200 사회과학 > 군사학 > 통솔론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81

한자 : 軍隊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권위주의 () [ 權威主義 ]

basesOn (근거/토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집단주의 () [ 集團主義 ]

hasIssue (이슈/주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상급자 [ 上級者 ]

hasIssue (이슈/주제)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가혹 행위 [ 苛酷行爲 ]

hasIssue (이슈/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인권 문제 [ 人權 問題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식주의 () [ 形式主義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군사 문화 [ 軍事 文化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지휘권 [ 指揮權 ]

Reading Shakespeare for Future Officers

미래장교를 위한 셰익스피어 읽기

한국군사학논집 | 68 | 2 | 2012 | 군사이론

Military Elites in Early Modern England and the Study of War

근대초기 영국의 군사엘리트와 전쟁연구

영국연구 | 27 | 2012 | 역사학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An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n the Military Organization's Culture

한국조직학회보 | 8 | 3 | 2011 | 행정조직/관리

미 육군과 한국 육군의 복지문화 비교연구: 장교의 급여와 주택수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elfareo fthe U.S.Army and ROK Army: Focusing on Officers' Pay and Housing Allowances

한국군사학논집 | 67 | 2 | 2011 | 군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