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 문화

연구분야 : B081500 사회과학 > 사회학 > 문화/종교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86

STNet ID : 9005373

한자 : 基底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문학예술 [ 文學藝術 ]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일상 문화 [ 日常文化 ]

hasIssue (이슈/주제)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가치관 [ 價値觀 ,價値觀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기층 문화 () [ 基層文化 ]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 「少年韓半島」를 대상으로 −

Reading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as Culture: 「The Boy Han Peninsula」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 「少年韓半島」를 대상으로 −

Reading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as Culture: 「The Boy Han Peninsula」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