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문화

연구분야 : B020403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정치사회/문화

클래스 : 심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90

STNet ID : 9005376

한자 : 冷戰文化

C02 심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 심리 심리

집단 의식 [ 集團意識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데올로기 () [Ideologie]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정치 성향 [ 政治性向 ]

RT (관련어)

 

 

정치적 목적 [ 政治的目的 ]

“세계언어로서의 추상”: 카셀 <도큐멘타>와 1950년대 독일의 예술정책

“Abstraction as a World Language”: Kassel documenta and German Art Policy in 1950s

미술사학보 | 34 | 2010 | 미술

“세계언어로서의 추상”: 카셀 <도큐멘타>와 1950년대 독일의 예술정책

“Abstraction as a World Language”: Kassel documenta and German Art Policy in 1950s

미술사학보 | | 34 | 2010 | 미술

남한사회 남남갈등의 양상과 해소방안 모색

The Aspect and Solution of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한국동북아논총 | 17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 주한미공보원 영화

The Intervention of the United State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the Frontline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Hegemony During the Cold War Er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ilms produced by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韓國의 冷戰文化 形成과 文化大革命 ― 대중 언론매체와 학계의 문화대혁명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Formation of Cold War Culture in Korea

중국근현대사연구 | 48 | 2010 | 중국현대사

韓國의 冷戰文化 形成과 文化大革命 ― 대중 언론매체와 학계의 문화대혁명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Formation of Cold War Culture in Korea

중국근현대사연구 | | 48 | 2010 | 중국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