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문화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208

한자 : --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천인합일 () [ 天人合一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천(天) (하늘) [ 天 ]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1) -‘1氣’ㆍ‘3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focusing on ‘One Ki(1氣)-shaped’ and ‘Three Ki(3氣)-shaped’ Jade Tools-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2) - ‘2氣’ㆍ‘5氣’ㆍ‘9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 focusing on ‘Two Ki(2氣)-shaped’, ‘Five Ki(5氣)-shaped’ and ‘Nine Ki(9氣)-shaped’ jade tools -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2) - ‘2氣’ㆍ‘5氣’ㆍ‘9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 focusing on ‘Two Ki(2氣)-shaped’, ‘Five Ki(5氣)-shaped’ and ‘Nine Ki(9氣)-shaped’ jade tools -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동아시아 ‘北斗-日月’ 표상의 원형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Big Dipper - the sun and the moon’ symbol in East Asia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동아시아 ‘天孫降臨思想’의 원형 연구 - 倍達古國의 ‘北斗(삼신하느님)신앙’과 천둥번개신(雷神) 桓雄 -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idea of Chunson's descent(天孫降臨思想) in East Asia - the Big Dipper belief(the Samsin-Hananim belief) and the lightninggod(雷神) Hanwoong(桓雄) in Baedalkook(倍達國) -

백산학보 | 9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