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kwaPalsebo of the late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materials and its recording years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kwaPalsebo of the late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materials and its recording years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籌學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JuhakPalsebo of the late Choson Dynasty
古文書硏究 |
39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Transformation of the Ulsan Area's Hakseong Yi House(鶴城李氏) Members: Their Escape from the Local "Hyang'ri" Clerk statu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Sajok" figure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 Alteration in the Status of the Local Hyang'ri beings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변영태 英譯時調의 성격과 의미
Peculiarities and Meaning of Old Shijo Translated in English by Pyun Young-Tae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춤문화의 연행 양상 -19세기 중인계층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Performing Dance-Cul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ultural Space of Middle Class in the 19th Century-
동양예술 |
15 |
2010 |
기타미술
조선후기 춤문화의 연행 양상 -19세기 중인계층의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Performing Dance-Cul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ultural Space of Middle Class in the 19th Century-
동양예술 |
|
15 |
2010 |
기타미술
系譜資料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中人의 사회적 지위
On the Chungin's Status of the Choseon Dynasty Based on Genealogical Material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中人層의 예술관 검토 ― 18⋅19세기 ‘서화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iddle Echelon's Art The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 Focused on the 'Seohwaron' in 18th and 19th Century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