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주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326

STNet ID : 9008443

한자 : 登州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고려시대 () [ 高麗時代 ]

S:전후

LT (이후명)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안변군 [ 安邊郡 ]

明·淸교체기 최초의 수로조천록

About Ka-Hae-Cho-Chun-Rok which is the first travelog via sea route by Chosun envoys in Myung-Chung Shifting period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문화학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 宋 入境以後를 中心으로 ―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고려전기의 麗宋 교통로와 교역

The Traffic Route and Trade of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圃隱 先生 明 使行길 踏査의 意味와 登州

圃隐先生明朝出使路线实地考察的意义和登州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使行路程으로서의 登州, 그 心象空間的 性格과 意味

Meaning and Peculiarity of An Imaginary Space Dengzhou as An Itinerary of Joseon Dynasty's Envoys to Beij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使行路程으로서의 登州, 그 心象空間的 性格과 意味

Meaning and Peculiarity of An Imaginary Space Dengzhou as An Itinerary of Joseon Dynasty's Envoys to Beij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