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문화

연구분야 : G039900 예술체육 > 미술 > 기타미술
A020504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민속학(인류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458

한자 : 茶文化
영어 : tea culture
한자 : 茶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중국 () [ 中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생활 문화 () [ 生活文化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문화콘텐츠 () [ 文化-- ]

RT (관련어)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B02 변화(변동) /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접변 [ 文化接變 ]

RT (관련어)

 

 

차(茶) () [ 茶 ]

雪舟 宋運會의 茶詩에 나타난 보성의 茶風俗 硏究

A Study on the Tea custom of Boseong in the tea poem by Seolju Song, Un-hoe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雪舟 宋運會의 茶詩에 나타난 보성의 茶風俗 硏究

A Study on the Tea custom of Boseong in the tea poem by Seolju Song, Un-hoe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唐代 茶詩의 형성, 그 표현형식과 정신세계

The Development of the Poetry of Teas on the Tang Dynasty, it's Expression and Neurotheology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明末 茶文化의 발전과 張岱 小品文 -『閔老子茶』, 『蘭雪茶』, 『禊泉』을 중심으로

The Progression of the Tea Culture of the Ming Dynasty, and the Vignette of Zhang dai -Based on 『min lao zi cha』, 『lan xue cha』, 『xi quan』-

외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 to Facilitate Tea Culture as Cultural Contents

조형미디어학 | 13 | 2 | 2010 | 기타미술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 to Facilitate Tea Culture as Cultural Contents

조형미디어학 | 13 | 2 | 2010 | 기타미술

한·중·일 차문화 비교연구의 동향과 과제

A trend and a problem of comparative study of tea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