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문화

연구분야 : B150103 사회과학 > 정책학 > 정책학일반 > 정책평가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468

한자 : 評價文化
영어 : evaluation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객관성 [ 客觀性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평가 기준 [ 評價基準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치 체계 [ 價値體系 ]

정책평가문화의 특성과 진화방향:공공기관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The Nature and Evolution of the Policy Evaluation Culture: Focusing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the Public Bodies in Korea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4 | 2010 | 정책학

정책평가문화의 특성과 진화방향:공공기관평가 제도를 중심으로

The Nature and Evolution of the Policy Evaluation Culture: Focusing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the Public Bodies in Korea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4 | 2010 | 정책학

연구의 맥락:정책분석평가와 문화 그리고 윤리

Weimer, D. L. and A.R. Vining. 2005. Policy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troduction: Culture and Ethics in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4 | 2010 | 정책학

연구의 맥락:정책분석평가와 문화 그리고 윤리

Weimer, D. L. and A.R. Vining. 2005. Policy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troduction: Culture and Ethics in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4 | 2010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