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조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19

STNet ID : 1001091

한자 : 强調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2 패턴 패턴

[R] 표현 (mode) [ 表現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강세 [ 强勢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도치 [ 倒置 ]

hasMethod (방법/기법)

 

A04 인공물 인공물

강조 표지 [ 强調標識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데포르마시옹 [déformation]

대중가요에 쓰인 영어 가사의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s of English Words Used in Popular Songs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대중가요에 쓰인 영어 가사의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s of English Words Used in Popular Songs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신동엽 산문의 담화․화용 양상 - 문법 관련 현상을 중심으로 -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and Pragmatics in the prose of Dong-yeop Shin - Focused on the phenomena related to grammar -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의 어휘관계와 문장의미 구성

Synonymy and Sentence Meaning 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a’ in Gyeongsang Dialects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창협의 序跋類 文章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The sentence technique research which appears in the Seobarlu sentences of Kim Chang-hyub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김창협의 序跋類 文章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The sentence technique research which appears in the Seobarlu sentences of Kim Chang-hyub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김수영 산문에서 지시사 대용어의 조응 및 강조 표현

Anaphoric and Emphatic Expressions of Demonstrative Pro-forms in Kim Soo-yeong's Prose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산문에서 지시사 대용어의 조응 및 강조 표현

Anaphoric and Emphatic Expressions of Demonstrative Pro-forms in Kim Soo-yeong's Prose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調)가 지시하는 선법과 토리의 개념

Musical Characteristics of Mode(선법) and Tori(토리)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러시아어에서 발화와 표현적 형상성 -화제 및 초점의 표지로서 억양의 유형과 특성

Utterance and Expressive Configuration in Russian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onation as a Mark of Topic and Focus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에서 발화와 표현적 형상성 -화제 및 초점의 표지로서 억양의 유형과 특성

Utterance and Expressive Configuration in Russian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onation as a Mark of Topic and Focus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형용사 반복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djective Repetition Construction in Korean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형용사 반복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djective Repetition Construction in Korean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불어 분열문과 한국어 번역 비교 연구

Une étude comparative sur le clivage en français et en coréen - Du point de vue de traduction des oeuvres littéraires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불어 분열문과 한국어 번역 비교 연구

Une étude comparative sur le clivage en français et en coréen - Du point de vue de traduction des oeuvres littéraires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생활독일어 교재에 나타나는 어휘적 강조수단

Lexikalische Mittel zur Hervorhebung im deutschen Lehrwerk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생활독일어 교재에 나타나는 어휘적 강조수단

Lexikalische Mittel zur Hervorhebung im deutschen Lehrwerk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영어 이탤릭체(italics)의 기능 및 영한 번역 전략

Functions of Italics and Translation Strategies

통번역학연구 | 14 | 2 | 2011 | 통역번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