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

연구분야 : B1711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산업입지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333

한자 : 用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관개 용수 [ 灌漑用水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생활 용수 [ 生活用水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발전 용수 [ 發電用水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공업 용수 [ 工業用水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농업 용수 [ 農業用水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입지 특성 [ 立地特性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우물 [well]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용지 [ 用地 ]

어둠이 곧 빛이다: 존 던의 「신성한 소네트」, 불교의 공(空)사상으로 읽기

Darkness is Light: Reading John Donne’s “The Holy Sonnets” in Terms of śūnyatā of Buddhism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어둠이 곧 빛이다: 존 던의 「신성한 소네트」, 불교의 공(空)사상으로 읽기

Darkness is Light: Reading John Donne’s “The Holy Sonnets” in Terms of śūnyatā of Buddhism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무한분할을 통해서 본 베르그송의 ‘지속’과 나가르주나의 ‘공’

Bergson’s ‘Duration’ and Nāgārjuna’s ‘Emptiness’ through the infinitesimal division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The New Time Immediacy, the Encounter of Bergson and Nāgārjuna’s Thought

베르그송과 나가르주나의 사유가 만나는 새로운 시간, 卽時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중론』 「관거래품」으로 읽는 말라르메의 「이지뛰르」

Une lecture d'Igitur de Mallarmé dans la "critique de mouvement" de Madhyamaka-Śāstra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중론』 「관거래품」으로 읽는 말라르메의 「주사위 던지기」

A study on Un Coup de Dés of Mallarmé in the "criticism on mouvement" of Madhyamaka-Śāstra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플라톤의 자기 연관성(Selbstbezüglichkeit)에 대한 상호문화 철학적 이해

Das interkulturelle Verständnis des platonischen ‘Wissens des Wissen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플라톤의 자기 연관성(Selbstbezüglichkeit)에 대한 상호문화 철학적 이해

Das interkulturelle Verständnis des platonischen ‘Wissens des Wissen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아니슈 카포(Anish Kapoor): 공과 색, 이름을 넘어서

Anish Kapoor: the emptiness and the objectness, beyond the nam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아니슈 카포(Anish Kapoor): 공과 색, 이름을 넘어서

Anish Kapoor: the emptiness and the objectness, beyond the nam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āgā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소크라테스와 용수의 귀류법에 대한 상호문화철학적 이해를 위하여 - 소크라테스의 논박(Elenchos)과 용수의 논힐(vitandā)을 중심으로 -

To Understand on Reductio ad absurdum(prāsṅga) used by Socrates and Nāgārjuna, Intercultural-Philosophically - Focusing on 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vitandā -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중송』 및 그에 대한 청목과 월칭의 주석을 중심으로

A Reconsideration of Nāgārjuna’s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It’s Understanding through the Middle Way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실유론자들의 불상부단설에 대한 용수의 비판

Nāgārjuna's Critique on the Theory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of Dravya-sat vādin

인도철학 | 30 | 2010 | 철학

실유론자들의 불상부단설에 대한 용수의 비판

Nāgārjuna's Critique on the Theory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of Dravya-sat vādin

인도철학 | | 30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