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 문양

연구분야 :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708

STNet ID : 9003190

한자 : 吉祥文樣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길상 무늬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2 패턴 패턴

전통 문양 [ 傳統文樣 ]

N1:종류

hasKind (종류)

 

 

태극 무늬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길상 [ 吉祥 ]

몽골의 인장에 나타난 알항헤(망치문양)디자인의 상징성 -한국의 뇌(雷)문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ymbolism of the Alkhan-khee(hammer pattern) represented in Mongolia's seal -Focusing Korea's lightning pattern design-

몽골학 | 32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양디자인 비교- 몽골의 연속문양(Алхан хээ)과 길상문양(θлзий хээ)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Pattern Designs Between Korea and Mongolia- Especially on Alkhugan Style(Алхан хээ) and Lucky Patterns(θлзийхээ) -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양디자인 비교- 몽골의 연속문양(Алхан хээ)과 길상문양(θлзий хээ)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Pattern Designs Between Korea and Mongolia- Especially on Alkhugan Style(Алхан хээ) and Lucky Patterns(θлзийхээ) -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 연구 Ⅱ -액세서리 제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Goods using Gilsang Patterns -Focusing on Accessories-

한복문화 | 13 | 1 | 2010 | 의상

길상문양을 응용한 자카드 직물 패션상품 개발 연구 Ⅱ -액세서리 제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Goods using Gilsang Patterns -Focusing on Accessories-

한복문화 | 13 | 1 | 2010 | 의상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니트 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Knit Design adapt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니트 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Knit Design adapt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