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3110

STNet ID : 9006573

한자 : 須彌山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수미산문 [ 須彌山門 ]

불교 우주론宇宙論 일월광日月光의 상징 분석

A Study on Symbolic Solar and Lunar Beams in Buddhist Cosmolog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안성 칠장사 法浻 作 <오불회괘불>의 재검토

An Reexamination of Beobhyung(法浻)’s Five Assemblies of Buddhas Gwabul Painting(五佛會掛佛) in ChilJang-Temple, Anseong City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수미산(須彌山) 조설의 특성 및 존재양상

A study on character of Sumisan

한국민속학 | 52 | 2010 | 역사학

수미산(須彌山) 조설의 특성 및 존재양상

A study on character of Sumisan

한국민속학 | 52 | | 2010 | 역사학

태국 사찰벽화에 나타난 우주도상 연구 -뜨라이품에 근거한 도상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ddhist cosmography portrayed in Thai mural paintings - Iconographic interpretation based on Traiphum Phra Ruang text

한국태국학회논총 | 17 | 2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