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루 이유 시가의 소통지향성과 담화 특성
The communicative aspects and the discourse aspects of poetry of Lee Yu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Colonial Women Education Seen by the Student Strike of Sookmyung Women’s School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Colonial Women Education Seen by the Student Strike of Sookmyung Women’s School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고전시가 분야에 대한 회고와 전망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를 중심으로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Classical Verse Branch —focused on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日東壯遊歌』 에 대한 비판적 성찰 - 18세기 서얼출신 향반의 사행체험
Critique about 『Ildongjangyuga』 - Envoy Experience of a Noble Countryman as a Son of a Concubine in the 18th Centur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中國 朝鮮族學校 校歌 分析 - 길림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ool Song of Chinese-Korean School in China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영남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적 특질 -호남지역 서사민요와의 비교를 위하여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ballads in Yeongnam District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남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적 특질 -호남지역 서사민요와의 비교를 위하여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ballads in Yeongnam District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Poetic Situation of Isangkok and Its Interpretation Logic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양산보 <애일가>의 전승과 성격
Tradition and character of Aeil-ga written by Yang, San-bo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산보 <애일가>의 전승과 성격
Tradition and character of Aeil-ga written by Yang, San-bo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승가」의 구연 문화적 성격과 작품의 형성 과정
A Study on the Aspect of Existence of 〈Seung-ga(僧歌)〉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1970-8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특징 -공중파 방송 인기곡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song’s lyrics in the 1970-1980s -focused on hit songs of public TV-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of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사대부가사의 서술방식과 그 의미
The aspects of the discourse theory in Sadaebu-kasa
국제언어문학 |
24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서포 김만중의 「關東別曲」飜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opo Kim Man-jung's 「Kwan-dong-byeol-gok: Another Lyric for Kwandong Region(關東別曲)」 Chinese Translated Poem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조선 유행가의 일본어 가사
Japanese lyrics of popular song in colonial Korea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사문학의 향유 전통과 현대적 계승
Enjoyment Traditional and Modern Succession of ‘Gasa’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가사문학의 향유 전통과 현대적 계승
Enjoyment Traditional and Modern Succession of ‘Gasa’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개화 가사에 나타난 문명개화의 양상과 의미
On the Aspects and Meaning of Civlization and Enligtment in GaSa of Koran Enlingtment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불교 우주론宇宙論 일월광日月光의 상징 분석
A Study on Symbolic Solar and Lunar Beams in Buddhist Cosmolog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북한문학사와 가사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and Gasa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