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일성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4444

한자 : 非同一性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동일성 () [ 同一性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정체성 () [ 正體性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특허 출원 [ 特許 出願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타자성 () [ 他者性 ]

탈-중심적 문학사의 주체화와 그 가능성의 조건들- 임화 「개설 신문학사」재독(再讀)

An introduction of de-centralized history of literature and its possible conditions - A re-interpretation on Lim Hwa's 『The history of new literatur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적 주체에 이르는 길―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를 대상으로

The Way of Reaching Aesthetic Subject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도르노 철학의 유토피아적 모티브

Die utopische Motive der Philosophie Theodor W. Adornos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W. G. Sebald의 문학적 역사 쓰기에서 현기증 느낌과 감정이입의 상관관계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Schwindelgefühl und Empathie in W. G. Sebalds Geschichtsschreibung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W. G. Sebald의 문학적 역사 쓰기에서 현기증 느낌과 감정이입의 상관관계

Über den Zusammenhang zwischen Schwindelgefühl und Empathie in W. G. Sebalds Geschichtsschreibung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글쓰기의 철학과 ‘좋은’ 글쓰기를 위한 전략 -아도르노의 비동일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Philosophie des Schreibens und Strategie für das gute Schreiben bei Adorno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글쓰기의 철학과 ‘좋은’ 글쓰기를 위한 전략 -아도르노의 비동일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Philosophie des Schreibens und Strategie für das gute Schreiben bei Adorno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Vo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zur Aufklärung der Dialektik: Kritische Implikationen des negativen Gedankens von Th. Adorno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계몽의 변증법에서 변증법의 계몽으로 - 아도르노의 부정 사유(negatives Denken)의 비판이론적 함축

Von der Dialektik der Aufklärung zur Aufklärung der Dialektik: Kritische Implikationen des negativen Gedankens von Th. Adorno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전율로서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as Shudder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거울 모티프의 양상과 함의 - 『회색인』을 대상으로

The Aspect and Implication of Mirror Motif in Choi In-hun’s Nove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