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적 계몽, 혹은 무위의 인간: 아감벤 정치철학의 현재성
The Absolute Enlightenment or Man without Ergon: Actuality of Giorgio Agamben's Political Thoughts
사회와 철학 |
21 |
2011 |
철학일반
최양업 신부의 행적에 대한 재검토 - 유학로와 선종지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 Rev. Yang-eop Choi's Itinerary to Macao and His Deathplace
교회사학 |
7 |
2010 |
교회사
최양업 신부의 행적에 대한 재검토 - 유학로와 선종지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 Rev. Yang-eop Choi's Itinerary to Macao and His Deathplace
교회사학 |
|
7 |
2010 |
교회사
‘헐벗은 생명,’ 탈주의 지점: ‘통치 불가능’에 대한 아감벤의 구상
Bare Life, A Point of Breakout:Agamben’s Conception of “the Ungovernable”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헐벗은 생명,’ 탈주의 지점: ‘통치 불가능’에 대한 아감벤의 구상
Bare Life, A Point of Breakout:Agamben’s Conception of “the Ungovernable”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이토토요의 도서관 공간에 나타나는 창조적 인터페이스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Interface Factors of Library Space on Ito Toy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3 |
2010 |
디자인
이토토요의 도서관 공간에 나타나는 창조적 인터페이스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Interface Factors of Library Space on Ito Toy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3 |
2010 |
디자인
극단 리미니 프로토콜과 다큐멘터리 연극
Rimini Protokoll und das dokumentarische Theater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분단과 예외상태의 국가 :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국가폭력
The Division and Exceptional Stat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Actor-Network of Division and State Violence-
북한학연구 |
8 |
1 |
2012 |
북한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 — ‘에피스테메’와 ‘진리놀이’의 사이 —
On Michel Foucault’s Concept of Discours
개념과 소통 |
9 |
2012 |
역사학
하룬 파로키의 <딥 플레이>와 영화적 장치의 새로운 정치학
New Politics of the Cinematic Apparatus in Harun Farocki’s Deep Play
영상예술연구 |
19 |
2011 |
기타예술체육
‘스마트’ 체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장치’와 ‘주체의 윤리학’의 관점에서
Smart regime: 'smart' as dispositif and ethics of the self
언론과 사회 |
20 |
1 |
2012 |
신문방송학
이병주 초기 소설의 자유주의적 성격 연구 -작가의식과 작중 인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beralistic Character of Early Novels by Lee Byung-Joo -Focusing on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이라는 장치 -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Literature as Dispositi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phere-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