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 평가

연구분야 : B140300 사회과학 > 행정학 > 행정조직/관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4978

한자 : 政府業務評價
영어 : Government Program Evaluation System

d02-01 사회제도

목적_t

정부 업무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기관 자체 평가 [ 機關自體評價 ]

임파워먼트 평가(Empowerment Evaluation)에 대한 고찰과 정부업무평가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f Empowerment Evaluation, and an Exploratory Application to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 Focused on Self-Evaluation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1 | 2010 | 정책학

임파워먼트 평가(Empowerment Evaluation)에 대한 고찰과 정부업무평가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f Empowerment Evaluation, and an Exploratory Application to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 Focused on Self-Evaluation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1 | 2010 | 정책학

성과관리와 평가체계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캐나다와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Evaluation: A Comparison of South Korea with Canada

행정논총 | 50 | 1 | 2012 | 행정학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수원시 자체평가제도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lf-Evaluation System i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Suwon City

사회과학논집 | 43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through the Survey o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s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through the Survey o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s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관리수단으로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역할 및 한계: 정부업무평가제도 내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The Roles and limits of Integrated Public Service Evaluation System as a Managerial Tool: Focus on Specific Evaluation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9 | 3 | 2010 | 행정학

관리수단으로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역할 및 한계: 정부업무평가제도 내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The Roles and limits of Integrated Public Service Evaluation System as a Managerial Tool: Focus on Specific Evaluation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9 | 3 | 2010 | 행정학

경찰청 업무평가 방식 변화에 따른 경찰활동 방안

A Policing Strategy on the Chang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Performance Evaluation

한국경찰연구 | 11 | 1 | 2012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