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뉴

연구분야 : A089900 인문학 > 불교학 > 기타불교학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클래스 : 재료/부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5703

한자 : 龍鈕

a04-02 재료/부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범종 () [ 梵鐘 ]

安養 石水洞 磨崖打鐘像의 造形과 編年 -범종 양식을 통해 본 마애종의 제작시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Buddhist Bell and Monk Image Carved on a Cliff in Seoksu-dong Anyang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安養 石水洞 磨崖打鐘像의 造形과 編年 -범종 양식을 통해 본 마애종의 제작시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Buddhist Bell and Monk Image Carved on a Cliff in Seoksu-dong Anyang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상원사종과 성덕대왕신종의 용뉴(龍鈕)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Bell Head of Sangwonsa bell and The Bell of King Sungdeuk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상원사종과 성덕대왕신종의 용뉴(龍鈕)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Bell Head of Sangwonsa bell and The Bell of King Sungdeuk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