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원조

연구분야 : B030800 사회과학 > 경제학 > 국제/세계경제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6238

한자 : 對外援助
영어 : foreign aid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경제 협력 [ 經濟協力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경제 원조 [ 經濟援助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군사원조 [ 軍事援助 ]

R1:개념적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제개발기구 () [ 國際開發機構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제2차 세계대전 () [ 第二次世界大戰 ]

What Matters in Determining Korean ODA Alloca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Bilateral Aid since 1991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배분 결정요인 분석: 1991년 이후 양자원조의 실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 45 | 6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의 대외원조 녹색화 담론 분석 : 양자 간 무상원조를 중심으로

A Discourse Analysis on Greening of Foreign Aids in Korea : Focused on Bilateral Aids

경제와 사회 | 89 | 2011 | 사회학

1950년대 미국 대외원조 확대론 연구: 「상호안전보장법안(Mutual Security Act」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Mutual Security Act (1951) and the U.S. Foreign Aid Debate in the 1950s

국제정치논총 | 51 | 4 | 2011 | 정치외교학

공적개발원조(ODA)의 지원 분야 및 행위자별 유형분석: 아시아지역 중심

Motivations, Types, and Changes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Asia: Sector and Agency-based Classification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공적개발원조(ODA)의 지원 분야 및 행위자별 유형분석: 아시아지역 중심

Motivations, Types, and Changes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Asia: Sector and Agency-based Classification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시민사회와 대외원조(ODA) : 일본의 개발 NGO 활동을 중심으로

Civil society & OD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ODA Policy and Development NGOs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시민사회와 대외원조(ODA) : 일본의 개발 NGO 활동을 중심으로

Civil society & OD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ODA Policy and Development NGOs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

The Change of Japanese ODA Policy :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일본연구논총 | 32 | 2010 | 지역학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

The Change of Japanese ODA Policy :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일본연구논총 | | 32 | 2010 | 지역학

내정불간섭 對 강대국의 책임 - ‘불량국가’ 원조사례를 통해 본 중국 대외원조의 딜레마 -

Non-Interference vs. Big Power’s Responsibility: A Dilemma of China’s Foreign Aid in Supporting ‘Rogue States’

국가안보와 전략 | 11 | 4 | 2011 | 정치외교학

네팔품의 국제 지역사회복지 실천 사례 연구 - 베시마을의 ‘행복한 마을 만들기’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unity Welfare in Nepal - Base on Happy Village Project by Nepal Pum in Besi Village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40 | 2012 | 사회복지학일반

해외 원조의 의무에 대한 의무론적 전망 ― 로버트 N. 반 윅의 칸트주의적 견해를 중심으로

Deontological Perspective for the Duty of Foreign Aid ― centering Robert N. Van Wyk's Kantian Viewpoint

대동철학 | 52 | 2010 | 철학

해외 원조의 의무에 대한 의무론적 전망 ― 로버트 N. 반 윅의 칸트주의적 견해를 중심으로

Deontological Perspective for the Duty of Foreign Aid ― centering Robert N. Van Wyk's Kantian Viewpoint

대동철학 | | 52 | 2010 | 철학

중국 대외원조의 특성과 메커니즘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China’s Foreign Aid

비교경제연구 | 19 | 1 | 2012 | 경제학

한국에 대한 대외원조의 거시 경제적 효과 분석

The Macroeconomic Impact of Foreign aid to Korean economy

산업혁신연구 | 27 | 4 | 2011 | 경영전략/정책

중견국가와 인도적 국제주의 외교정책: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외원조정책을 중심으로

Middle Power and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The case of Scandinavian foreign aid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견국가와 인도적 국제주의 외교정책: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외원조정책을 중심으로

Middle Power and Humanitarian Internationalism: The case of Scandinavian foreign aid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공적개발원조 배분정책과 실적: 선진국과 한국의 비교

Aid Allocation Policies and Practice: DAC Members and Korea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33 | 4 | 2011 | 경제학

원조집행기관의 자율성과 제도적 변화: 영국 DFID 사례를 중심으로

Autonomy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Foreign Aid Management System: The case of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DFID) in UK

유럽연구 | 28 | 1 | 2010 | 지역학

원조집행기관의 자율성과 제도적 변화: 영국 DFID 사례를 중심으로

Autonomy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Foreign Aid Management System: The case of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DFID) in UK

유럽연구 | 28 | 1 | 2010 | 지역학

해외 원조 문제에서 국제주의와 세계시민주의 - 롤즈와 싱어의 견해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 the Problem of Foreign Aid- Focused on J, Rawls and P. Singer -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해외 원조 문제에서 국제주의와 세계시민주의 - 롤즈와 싱어의 견해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 the Problem of Foreign Aid- Focused on J, Rawls and P. Singer -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해외원조의 새로운 윤리적 시각: 세계시민주의

A New Perspective of Foreign Assistance Ethics: Cosmopolitanism

윤리연구 | 1 | 82 | 2011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