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사업

연구분야 : B100105 사회과학 > 지역학 > 지역학일반 > 도시/지역계획
B1705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도시계획/설계/개발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6574

한자 : 再開發事業

d02-01 사회제도

목적_o1

주거환경개선 (住居環境改善)

대상2

도시 (都試)

목적_t

재개발 구역안에서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재개발 [ 再開發 ]

hasProperty (특성/속성)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토지 이용 [ 土地利用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정비 사업 [ 整備事業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결합개발 [ 結合開發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도시재생사업 () [ 都市再生事業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재개발 구역 [ 再開發區域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재개발 아파트 [ 再開發-- ]

isAppliedTo (적용 대상)

 

 

도시재개발법 ()

공용환권의 개념과 법적 효과

The legal concept and effects of compulsory exchange of rights

행정법연구 | 31 | 2011 | 법학

업종에 따른 정비사업지구 상가임차인의 재정착의향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Commercial Tenants' Resettlement Decision in Redevelopment Area by Type of Business

부동산학보 | 43 | 2010 | 국제/지역개발

업종에 따른 정비사업지구 상가임차인의 재정착의향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Commercial Tenants' Resettlement Decision in Redevelopment Area by Type of Business

부동산학보 | | 43 | 2010 | 국제/지역개발

단독주택지 정비방식의 사업성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Deveolpment Method for Blighted Detached Dwelling Area

부동산학보 | 44 | 2011 | 국제/지역개발

도시정비법상의 주택재개발조합의 법적 지위

The Legal Status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Association on the Urban Improvement Act

사법 | 1 | 17 | 2011 | 법정책학

재개발 사업지구의 지표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6개시 201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상의 재개발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Study of Indicator Affecting Redevelopment Project in Gyeonggi

도시행정학보 | 25 | 1 | 2012 | 행정학

국공유지 무상양도를 활용한 재개발사업의 공공지원 방안

A Study on a Public Support Method using the Gratuitous Public Land Conveyance System

부동산학연구 | 18 | 1 | 2012 | 경제학

재개발사업에서 상가임차인에 대한 권리금을 포함한 영업손실 보상

Business Indemnification for Commercial Tenants in Redevelopment Projects: with the Main Focus on Premium

민주법학 | 46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