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三角山’의 문화지형과 공간의 재발견 - 柳匡天과 申命顯의 山水遊記를 중심으로 -
The Cultural Topography of "Mt. Samgak" and Rediscovery of Its Spaces in the 18th Century - With a focus on the travel journals of Yu Gwang-cheon and Shim Myeong-hyeon -
민족문화논총 |
47 |
2011 |
기타인문학
‘내가’와 ‘나에게’의 대비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내가’ and ‘나에게’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메를로-퐁티 현상학으로 본 부석사 공간 연구
A Study on Space of Pu Sok Sa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3 |
2012 |
디자인
브레인스토밍에 기초한 그리기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Drawing Representa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Brainstorming
한국교육문제연구 |
29 |
2 |
2011 |
기타교육학
현상적 투명성의 개념을 통한 문루건축 공간의 상호 연계성 연구 - 사찰·서원 중층문루 건축 개체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al Transparency of the spatial Interrelation in the Architecture of the Moonru Multi roofs - Focu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eo Won gate-house and temple gate-house in the Architecture entities of the Moonru Multi roofs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