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몽신화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790

STNet ID : 1001111

한자 : 朱蒙神話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건국 신화 () [ 建國神話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아메노히보코 [ 天之日矛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구려 () [ 高句麗 ]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The Origin of Tales of Searching for a Father and their Literary Embodiment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The Origin of Tales of Searching for a Father and their Literary Embodiment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백제 건국신화의 연구 -일본의 도모신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the Foundation Myth of Baekj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養馬모티프의 變遷과 文學的 意味

A Study on the Meaning of Breed a Horse Motive in Korean Narrative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養馬모티프의 變遷과 文學的 意味

A Study on the Meaning of Breed a Horse Motive in Korean Narrative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朱蒙, 溫祚, 洪吉童의 人物性格 硏究 -출생담과 현실적 제약을 중심으로-

Study of character of Ju-mong, On-jo and Hong Kil-dong - through born-to folk tales and the realistic restrictions -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朱蒙, 溫祚, 洪吉童의 人物性格 硏究 -출생담과 현실적 제약을 중심으로-

Study of character of Ju-mong, On-jo and Hong Kil-dong - through born-to folk tales and the realistic restrictions -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