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적 무지

연구분야 : B190203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언론학/언론정보학 > 언론·정보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8296

STNet ID : 9001663

한자 : 多元的無知
영어 : pluralistic ignorance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StateOf (상태의 대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여론 형성 [ 與論形成 ]

RT (관련어)

 

E04 공간 공간
E04 공간 /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사이버 공간 [ --空間 ]

금주 쟁점에 대한 공중의 단일합의, 다원적 무지, 비동의 합의와 침묵의 나선 현상 연구

Publics’ Pluralistic Ignorance and Spiral of Silence on Abstention from Alcohol Drinking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금주 쟁점에 대한 공중의 단일합의, 다원적 무지, 비동의 합의와 침묵의 나선 현상 연구

Publics’ Pluralistic Ignorance and Spiral of Silence on Abstention from Alcohol Drinking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미디어 이용행태가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edia Use and Involvement on the Perception of Diet Focusing on Pluralistic Ignorance

홍보학연구 | 14 | 2 | 2010 | 신문방송학

미디어 이용행태가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edia Use and Involvement on the Perception of Diet Focusing on Pluralistic Ignorance

홍보학연구 | 14 | 2 | 2010 | 신문방송학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의 다원적 무지(pluralistic ignorance) 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Korean's negative attitude formation toward foreigners : With pluralistic ignorance concept

언론과학연구 | 11 | 2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