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군징(主制群徵)』에 나타난 서양의학 이론과 중국과 조선에서의 수용 양상
Zhuzhiqunzheng (主制群徵), the Jesuit translation of Western medicine and its influence o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의사학 |
21 |
2 |
2012 |
역사학
Tragic Cognition and Philosophical Thinking
철학적 사유에 있어서 비극적 인식
서양고전학연구 |
44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永久 平和’ 對 ‘힘들의 遊戱’ : 칸트와 헤겔의 國際 關係論
Ewiger Frieden versus Spiel der Mächte: Völkerrechtslehre bei Kants und Hegel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비망록』과 삼손의 자살 문제
The Commonplace Book and the Problem of Samson's Suicide
중세근세영문학 |
21 |
2 |
2011 |
영어와문학
악의 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신학적 고찰
Problem of Evil and Theological Study for Its Overcome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악의 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신학적 고찰
Problem of Evil and Theological Study for Its Overcome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惡과 苦의 비교연구 ─ 기독교와 불교의 인간세상 해석 ─
Comparative Study on the Evil and Suffering
철학∙사상∙문화 |
12 |
2011 |
기타인문학
유스투스 립시우스의 『항심(恒心)에 대하여』에 나타난 신스토아주의
Neostoic Ideas in Justus Lipsius’ On Constancy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2 |
2010 |
영어와문학
유스투스 립시우스의 『항심(恒心)에 대하여』에 나타난 신스토아주의
Neostoic Ideas in Justus Lipsius’ On Constancy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2 |
2010 |
영어와문학
유세비우스의 『연대기』와 『교회사』
Eusebius’ Chronicle and Ecclesiastical History
서양사론 |
112 |
2012 |
역사학
기도와 섭리, 모순인가? 조화인가? 막시모스와 세네카, 그리고 오리게네스의 기도이해를 중심으로
Gebet und Vorsehung: Gegensätzlich oder harmonisierbar? Die Studie über das Gebetsverständniss des Maximos von Tyrios, Seneca und Origenes
한국교회사학회지 |
29 |
2011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