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공학

연구분야 : D010000 공학 > 공학일반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9

STNet ID : 9001834

한자 : 生命工學
영어 : biotechnolog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공학 [ 工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축산 생명 공학 [ 畜産生命工學 ]

hasBranch (분기/분과)

 

 

식물 생명 공학 [ 植物生命工學 ]

R1:개념적

hasState (상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생명 현상 () [ 生命現象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리서치툴 [research tool]

국제통상법에 있어서 식품안전에 대한 EU식품법의 지위

Position of EU Food Law in International Trade Law

국제지역연구 | 16 | 2 | 2012 | 지역학

유전자 특허의 정당성에 관한 윤리적 논의

Ethical Considerations on the Justifiability on Gene Patents

생명연구 | 20 | 2011 | 서양철학

보조생식기술의 민주적 정치와 ‘겸허의 기술’

경제와 사회 | 85 | 2010 | 사회학

보조생식기술의 민주적 정치와 ‘겸허의 기술’

경제와 사회 | | 85 | 2010 | 사회학

사회생물학의 인식론적 경향, 그리고 그 대중적 차원들

Epistemological Aspects of Sociobiology and its Public Dimensions

인간연구 | 18 | 2010 | 철학

사회생물학의 인식론적 경향, 그리고 그 대중적 차원들

Epistemological Aspects of Sociobiology and its Public Dimensions

인간연구 | | 18 | 2010 | 철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독일 법원의 논증 분석 ―형법적 가벌성의 인정여부에 따른 해석학적 구조의 차별화―

Die Analyse der Argumente in den deutschen Urteilen zur Präimplantationsdiagnostik (PGD)

법철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민법에 있어서 권리주체 및 권리객체 개념의 변화-의료기술 및 생명공학의 발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The conceptual change of subject & object of rights in civil law

법학연구 | 30 | 2010 | 법학교육

민법에 있어서 권리주체 및 권리객체 개념의 변화-의료기술 및 생명공학의 발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The conceptual change of subject & object of rights in civil law

법학연구 | 30 | | 2010 | 법학교육

現行 獨逸法上 나노技術과 責任法에 관한 小考

Nanotechnologie und Haftungsrecht im geltenden deutschen Recht

경희법학 | 47 | 1 | 2012 | 비교법학

마이어(Mayer, E.)의 생명과학과 윤리

E. Mayer's Science of Life and it's Ethics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마이어(Mayer, E.)의 생명과학과 윤리

E. Mayer's Science of Life and it's Ethics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생명공학과 기본권 - 소위 초기 인간배아의 기본권을 중심으로-

Humangenetik und Grundrechte - Ein Beitrag zum grundrechtlichen Status des Embryos in vitro-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

생명공학과 기본권 - 소위 초기 인간배아의 기본권을 중심으로-

Humangenetik und Grundrechte - Ein Beitrag zum grundrechtlichen Status des Embryos in vitro-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표시의무제한 허용의 헌법적 문제

Zur verfassungsrechtlichen Frage der Zulässigkeit einer Beschränkung von Pflichten zur Kennzeichnung gentechnischen veränderter Lenensmittel

헌법학연구 | 17 | 1 | 2011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