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

연구분야 : G101200 예술체육 > 체육 > 여가레크리에이션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964

한자 : 娛樂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레크리에이션 [recreation]

N1:종류

hasKind (종류)

 

e01-04 스포츠/놀이유형 스포츠/놀이유형

대중 오락 () [ 大衆娛樂 ]

hasKind (종류)

 

c01-07 감각 감각

감성 오락 [ 感性娛樂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유희 [ 遊戱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도박 [ 賭博 ]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공간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가족 공원 [ 家族公園 ]

RT_X (관련어►)

관련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놀이 문화 () [ --文化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프랑스 방송 문화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Une réflexion sur l’indentité de la télévision coréenne: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télévisuelle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영상문화 | 16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프랑스 방송 문화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Une réflexion sur l’indentité de la télévision coréenne: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télévisuelle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영상문화 | | 16 | 2010 | 학제간연구

고대영시에 내재된 오락의 의미와 시인의 기능

The Iimplication of Entertainment and the Role of Scop in Old English Poetry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20 | 1 | 2012 | 영어와문학

근대적 자연 체험과 교양 담론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랑소설의 장르인식, ‘오락’과 ‘(미국)문명’의 접점 1950년대 중/후반 <아리랑>의 명랑소설을 중심으로

The Category Recognition for the Humor(Myungrang) Novel, A Point of Contact ‘Entertainment’ and ‘(American) Civilization’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