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0813
한자 : 渡, 濤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王夫之의 <中庸> 理解
王夫之對 <中庸>的理解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정치이론의 교육적 차원: 홉스와 한비자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Political Theory: Hobbes and Hanfei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周易』의 관점으로 본 퇴계 理氣論과 性情論
Toegye's Li-chi theory and theory of tempera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Ching』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周易』의 관점으로 본 퇴계 理氣論과 性情論
Toegye's Li-chi theory and theory of tempera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Ching』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莊子之「道」 — 立足於文獻之考察 —
莊子의 「道」 - 문헌에 근거한 고찰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莊子之「道」 — 立足於文獻之考察 —
莊子의 「道」 - 문헌에 근거한 고찰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陽明의 良知論 考究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Yangji) in Wang Yang-ming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陽明의 良知論 考究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Yangji) in Wang Yang-ming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論語徵』에 나타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道 인식
A recognize of Ohgyusorayiui’s Tao(道) appeared 『Noneojing(論語徵)』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莊子之「道」 — 立足於文獻之考察 —
莊子의 「道」 - 문헌에 근거한 고찰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The seasonal conditions of Oryun-sijo's emergence in 16th Centu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논어석의에 나타난 왕필 경학의 현학적 성격
Neo-Taoist thoughts of Wang Pi’s Classical Studies : Commentaries on Analect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晩明 李贄의 문학관 고찰
A Study of Li Zhi’s view of Literature
한중언어문화연구 | 22 | 2010 | 중국어와문학
晩明 李贄의 문학관 고찰
A Study of Li Zhi’s view of Literature
한중언어문화연구 | | 22 | 2010 | 중국어와문학
眞 ․ 善 ․ 美의 書藝美學的 理解
Aesthetic Understanding on Truth, Goodness and Beauty in Calligraphy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眞 ․ 善 ․ 美의 書藝美學的 理解
Aesthetic Understanding on Truth, Goodness and Beauty in Calligraphy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李穡과 金宗直의 「觀魚臺小賦」와 「觀魚臺賦」 攷
A study on Leesaek and Kimjongjik's 「The poetical prore of a tableland of looking on fishes」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지하의 시에 나타난 장자적(莊子的) 특성
The Study of Chuang-Tzu's virtue in Kim Ji-ha's poetry
한국문예비평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지하의 시에 나타난 장자적(莊子的) 특성
The Study of Chuang-Tzu's virtue in Kim Ji-ha's poetry
한국문예비평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道’의 존재론 -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전개Ⅰ-
Ontological Analysis of Dao (道: Wa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aozi (老子) Philosophy Viewed through Traditional Literature and Excavated Literature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
賈誼禮論의 정신과 그 근거로서의 孟·荀종합적 인성론
The spirit of Jia-Yi's theory of proprieties(禮) and his theory of human nature of Meng-zi and Xun-zi' synthesis as its basi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賈誼禮論의 정신과 그 근거로서의 孟·荀종합적 인성론
The spirit of Jia-Yi's theory of proprieties(禮) and his theory of human nature of Meng-zi and Xun-zi' synthesis as its basi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淮南子』의 우주생성론 고찰
『淮南子』的宇宙生成論硏究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賈誼禮論의 정신과 그 근거로서의 孟·荀종합적 인성론
The spirit of Jia-Yi's theory of proprieties(禮) and his theory of human nature of Meng-zi and Xun-zi' synthesis as its basi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賈誼禮論의 정신과 그 근거로서의 孟·荀종합적 인성론
The spirit of Jia-Yi's theory of proprieties(禮) and his theory of human nature of Meng-zi and Xun-zi' synthesis as its basi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동양고전을 통해서 본 聖賢의 글쓰기 교육
A Study on the Writing Education of Confucian in the Classics of the Orient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서양 철학에서 본 도교 종교성: 헤겔, 베버와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On Daoism As The Religion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止止堂 金孟性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Jijidang KimMaingsung'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止止堂 金孟性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Jijidang KimMaingsung'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자의 직업사상
Chang Tsu’s Thoughts on Occup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孔子的仁禮和諧思想
The Harmony between Ren and Li in Confucius' Philosophy
국제중국학연구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孔子的仁禮和諧思想
The Harmony between Ren and Li in Confucius' Philosophy
국제중국학연구 |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李翱、皇甫湜文论特色之探讨- 對前人評價之商榷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Li'ao(李翱)and Huangfushi(皇甫湜)’s Guwen(古文) theory
한중언어문화연구 | 29 | 2012 | 중국어와문학
‘위험사회’에서 ‘자기계발’의 윤리학에 관한 小考
Rethinking Risk Society and ‘Self-Improvement’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Foucault’s Ethics and Early East Asian Ethics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
소옹(邵雍)과 이황(李滉) 시에 나타난 존재 근원의 표현 고찰
邵雍与李晃的诗中所表现的存在根源的表现方式
중어중문학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소옹(邵雍)과 이황(李滉) 시에 나타난 존재 근원의 표현 고찰
邵雍与李晃的诗中所表现的存在根源的表现方式
중어중문학 |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도수사』에 나타난 시적 세계
A Poetic World in Dosusa
동학연구 | 29 | 2010 | 기타인문학
『도수사』에 나타난 시적 세계
A Poetic World in Dosusa
동학연구 | | 29 | 2010 | 기타인문학
노자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전통공간의 해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Analyzed by Aesthetic Idea of Lao-tz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장자(莊子)의 도(道)에서 본 하보경의 예술성
The State of Ha Bo-gyeong’s Artistry Viewed from the Way(道) of Zhuangzi(莊子)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6 | 66 | 2011 | 무용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전북 진안 南學系 金致寅의 삶과 儒佛仙 相合論 一攷
A Study on the Kim Chi-in’s Life and Confucianism-Buddhism-Taoism-Unity of Namhak line on Jinan in Junbuk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그림자 개념에 관하여
On Shadow Concept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그림자 개념에 관하여
On Shadow Concept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전북 진안 南學系 金致寅의 삶과 儒佛仙 相合論 一攷
A Study on the Kim Chi-in’s Life and Confucianism-Buddhism-Taoism-Unity of Namhak line on Jinan in Junbuk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近代中國佛教弘法範式的現代轉型
근대 중국불교의 포교방식의 현대적 변형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노자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전통공간의 해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Analyzed by Aesthetic Idea of Lao-tz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퇴계의 유산(遊山)과 그 의미
Playing Mountain in Toegye and its Meaning
한국체육학회지 | 50 | 3 | 2011 | 체육
止止堂 金孟性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Jijidang KimMaingsung'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止止堂 金孟性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Jijidang KimMaingsung'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위험사회’에서 ‘자기계발’의 윤리학에 관한 小考
Rethinking Risk Society and ‘Self-Improvement’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Foucault’s Ethics and Early East Asian Ethics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
担当之志与进退之义
Ambition of Accountability and Yi of Advance and Retreat
퇴계학보 | 130 | 2011 | 유교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管子』 4篇과 『鶡冠子』의 氣論 비교를 통한 원시도가 자연관의 사회정치적 변용양상 연구
A study of the socio-political acculturational aspects of the original Daoism the view of nature, comparing the Qi-theory of the four treatises of Guanzi with the Qi-theory of Heguanzi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管子』 4篇과 『鶡冠子』의 氣論 비교를 통한 원시도가 자연관의 사회정치적 변용양상 연구
A study of the socio-political acculturational aspects of the original Daoism the view of nature, comparing the Qi-theory of the four treatises of Guanzi with the Qi-theory of Heguanzi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하이데거와 노장(老莊)의 비인간주의 ―현상학적 태도와 선(禪)적 무위의 이질성
On a heterogeneity of de-humanism Heidegger and Taoism each has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유학자들의 활쏘기관과 장기바둑관에 주안하여-
Mainten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Play-Focusing on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on Archery and Janggi-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王安石에 있어서의 道와 字
Dao and Characters in Wang Anshi's Learning
동양사학연구 | 110 | 2010 | 역사학
王安石에 있어서의 道와 字
Dao and Characters in Wang Anshi's Learning
동양사학연구 | | 110 | 2010 | 역사학
도가의 인생과 윤리
On Practical Ethics of Taoist Life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도가의 인생과 윤리
On Practical Ethics of Taoist Life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善의 意味로 본 ≪老子≫의 道
Study on the Laozi's Da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aning of the word 'seon'
중국인문과학 | 51 | 2012 | 중국어와문학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노장사상(老莊思想)의 인식론과 언어관
Epistemology and View of Language of Taoism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언론과학연구 | 12 | 1 | 2012 | 신문방송학
노자의 ‘玄同’에 대한 의미 고찰
关于『老子』'玄同'的意义考察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노자의 ‘玄同’에 대한 의미 고찰
关于『老子』'玄同'的意义考察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老子의 생명사상과 체육
Laozi(老子)'s ‘Life’ Philosophy and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老子의 생명사상과 체육
Laozi(老子)'s ‘Life’ Philosophy and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노자의 해체주의적 사유와 윤리설의 특징
Lao Tzu's deconstructive thinking and characteristics of moral theor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莊子思想中對「道」之認知問題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道德與生命 -道家生命思想的理论觀念及其形态-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道德與生命 -道家生命思想的理论觀念及其形态-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李穡과 金宗直의 「觀魚臺小賦」와 「觀魚臺賦」 攷
A study on Leesaek and Kimjongjik's 「The poetical prore of a tableland of looking on fishes」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중 광역지방행정제도의 역사적 비교연구
A Historical Comparative Study on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행정사학지 | 29 | 2011 | 행정사
삶과 예술정신의 연관성 고찰- 老莊을 중심으로 -
Relation Investigation of Life and Art Spirit: Focused on Lao-Zhuang
인문과학연구 | 24 | 2010 | 기타인문학
삶과 예술정신의 연관성 고찰- 老莊을 중심으로 -
Relation Investigation of Life and Art Spirit: Focused on Lao-Zhuang
인문과학연구 | | 24 | 2010 | 기타인문학
논리를 넘어선 직관의 문학 기제 -≪노자≫의 ‘비유’를 논함
A Study on Metaphor of Laozi’s Daodejing
중국어문학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关于《中庸》首章“率性之谓道”朱子与茶山注释的对比硏究
Zhu Xi and Tasan’s Interpretations on the Doctrine of the Means : Focusing on the Phrase“To Follow Nature is Called Natur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인격교화론
The theory of personality edification of the saint appearing in Tao Te Ching of Lao Tzu
인격교육 | 6 | 1 | 2012 | 기타교육학
老子『道德經』에 비춰진 태권도의 ‘道’
‘Dao(道)’ of Taekwondo Reflected in Laozi(老子) 『Dao De Jing(道德經)』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3 | 2012 | 체육
『管子』의 정치관에 나타난 위민의식
The Wee-Min(爲民) Principles in the political views of Guan Zi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管子』의 정치관에 나타난 위민의식
The Wee-Min(爲民) Principles in the political views of Guan Zi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노자』 無名論 新探
New Understanding on the Thought of Namelessness (Muming) in the Laozi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노자』 無名論 新探
New Understanding on the Thought of Namelessness (Muming) in the Laozi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인격교화론
The theory of personality edification of the saint appearing in Tao Te Ching of Lao Tzu
인격교육 | 6 | 1 | 2012 | 기타교육학
儒家의 道와 藝 — 道, 德, 仁, 藝의 상호연관을 중심으로 —
儒家之道與藝 - 以道、德、仁、藝的相互聯關性爲中心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管子』 4篇에 나타나는 “心”槪念硏究
『管子』 4篇的 “心”槪念硏究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정이(程頤) 역학(易學)에 대한 왕부지(王夫之)의 비판적 수용
王夫之對程頤易學的批判性吸收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1930년대 전원파 시의 도가사상 연구
A Study on the Imagination of Tao Thought in the Poems of the Naturalist of 1930'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노자의 유무관 고찰
Study on Lao-tzu老子’s ‘You(有)’ and ‘Wu(無)’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도가의 생태윤리적 조명
Daoism and Ecological Ethics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도가의 생태윤리적 조명
Daoism and Ecological Ethics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노자 생명 사상의 현대적 의미
老子生命思想的现代意义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노자 생명 사상의 현대적 의미
老子生命思想的现代意义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조선 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
A Study on the Thought of Literature of the Group Classical Scholar of Yeungnam Province in the Preceding term of Chosu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노자 생명 사상의 현대적 의미
老子生命思想的现代意义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노자 생명 사상의 현대적 의미
老子生命思想的现代意义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정이(程頤) 역학(易學)에 대한 왕부지(王夫之)의 비판적 수용
王夫之對程頤易學的批判性吸收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Understanding Behavior Intentions of Tourists - Incorporating a Visitor’s Place of Origin into the TPB model -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이해 - 관광객의 거주지와 TPB 모델의 결합 -
관광연구 | 26 | 3 | 2011 | 관광학일반
「지언의의」를 통해 본 호굉과 주희의 철학
Comparison of Hu Hong's and Zhu Xi's philosophy through Analysis of Chihyani-i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지언의의」를 통해 본 호굉과 주희의 철학
Comparison of Hu Hong's and Zhu Xi's philosophy through Analysis of Chihyani-i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호굉의 도(道)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Hu Hong's Concept of "Tao"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管子』 4篇에 나타나는 “心”槪念硏究
『管子』 4篇的 “心”槪念硏究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莊子』에 나타난 마음(心)과 몸(身)에 대한 고찰
对于 『莊子』‘心’與‘身’范畴考察
중국학연구 | 60 | 2012 | 중국어와문학
『莊子』 言語表現의 矛盾 現象에 관한 小考
A study on the contradictions of language's expressions in『zhuangzi莊子』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莊子』 言語表現의 矛盾 現象에 관한 小考
A study on the contradictions of language's expressions in『zhuangzi莊子』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 영남 사림파의 도학적 문학사상
A Study on the Thought of Literature of the Group Classical Scholar of Yeungnam Province in the Preceding term of Chosu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노자의 유무관 고찰
Study on Lao-tzu老子’s ‘You(有)’ and ‘Wu(無)’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