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부조

연구분야 : B141002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사회복지행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150

STNet ID : 9002890

한자 : 公共扶助
영어 : public assistance

d02-01 사회제도

시대9

현대 (現代)

관련법률/제도명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國民基礎生活保障法)

목적_t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 보장 및 자립 지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회 부조 [ 社會扶助 ]

UF (비우선어)

 

 

국가 부조 [ 國家扶助 ]

UF (비우선어)

 

 

공적 부조 [ 公的扶助 ]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치료 거부권 [ 治療拒否權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b01-03 경제/산업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사회 부조 개혁 [ 社會扶助改革 ]

RT (관련어)

도구/수단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소득 재분배 [ 所得再分配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사회 보장 기본법 [ 社會保障基本法 ]

isAppliedTo (적용 대상)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의료급여법 [ 醫療給與法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빈곤가족 한시 지원 [ 貧困家族--時支援 ]

노부모부양에 대한 소고

A Study of Support of Aged Parents

안암법학 | 33 | 2010 | 법학일반

노부모부양에 대한 소고

A Study of Support of Aged Parents

안암법학 | | 33 | 2010 | 법학일반

Has Welfare Reform Reduced Poverty among Less-Educated Women?

미국 복지개혁의 성과 평가 −저학력여성들의 빈곤완화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26 | 4 | 2010 | 기타사회과학

Has Welfare Reform Reduced Poverty among Less-Educated Women?

미국 복지개혁의 성과 평가 −저학력여성들의 빈곤완화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26 | 4 | 2010 | 기타사회과학

프랑스 자활제도의 최근 동향과 정책적 함의

Recent Trends in Structure of the French Insertion by Economic Activ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한국사회정책 | 19 | 1 | 2012 | 의료/복지/사회정책

An Analysis of Economic Stability in Poor Households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1 | 2012 | 사회복지조사/분석

사회복지 예산들의 관계 : 경합 관계인가, 동반 관계인가?

Relations between Sub-Expenditures of Social Welfare : Trade off or Go with?

한국행정논집 | 23 | 1 | 2011 | 행정학

공공부조 권리구제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Research on the Redemption of Right System in the Law of Social Assistance

사회복지정책 | 37 | 1 | 2010 | 사회복지학

공공부조 권리구제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Research on the Redemption of Right System in the Law of Social Assistance

사회복지정책 | 37 | 1 | 2010 | 사회복지학

캐나다 복지국가의 유형 검토 −에스핑-안데르센의 분류를 중심으로

Canada as a Liberal Welfare State-An Evaluation of Esping-Andersen's Welfare Regime Theory

사회과학연구 | 26 | 4 | 2010 | 기타사회과학

캐나다 복지국가의 유형 검토 −에스핑-안데르센의 분류를 중심으로

Canada as a Liberal Welfare State-An Evaluation of Esping-Andersen's Welfare Regime Theory

사회과학연구 | 26 | 4 | 2010 | 기타사회과학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출 결정요인: 근로능력자 집단별 분석

Determinants of Exit from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A Group-specific Analysis of Welfare Exit among Able-bodied Recipients

사회복지정책 | 38 | 1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