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행

연구분야 : B110600 사회과학 > 인류학 > 정치및법인류학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32

STNet ID : 1000126

한자 : 慣行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관습 [ 慣習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행위 규칙 [ 行爲 規則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기업 관행 [ 企業 慣行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상거래 관행 () [ 商去來慣行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불공정 관행 [ 不公正慣行 ]

hasKind (종류)

 

C02 심리 심리

배타적 관행 [ 排他的慣行 ]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반 경쟁적 관행 [ 反競爭的慣行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식생활 관습 [ 食生活 慣習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풍 [ 家風 ]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무역 관습 [ 貿易慣習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인습 [ 因襲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가옥 구조 [ 家屋構造 ]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전통 의료 [ 傳統醫療 ]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국민 문화 () [ 國民文化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관례적 민족주의 () [ 慣例的民族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고등법원 () [ 朝鮮高等法院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공적 규제 [ 公的 規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흠결보충 [ 欠缺補充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관습법 [ 慣習法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관례 [ 慣例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관습 조사 [ 慣習調査 ]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학교수학 | 12 | 4 | 2010 | 수학교육학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학교수학 | 12 | 4 | 2010 | 수학교육학

정책갈등과 제도변화 : Helmke와 Levitsky의 제도관계유형을 중심으로 한 사례분석

Policy Conflict and Institutional Change : A Cas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Helmke and Levitsky's Typology

한국행정논집 | 23 | 1 | 2011 | 행정학

南京國民政府의 公債政策과 統一公債의 性格 再論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1930年代 中國企業慣行과 經營環境

A Study on the Customary Practices and Management Environments of Chinese Companies in the 1930s

중앙사론 | 34 | 2011 | 역사학

흄의 정의론 연구 -재산권 규칙의 정립과 관련한 묵계(Convention)를 중심으로-

Hume's Theory of Justice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중국 가족․종족 관행의 전개와 변천 - 중국 가족․종족 자료집의 편찬과 의의 -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Chinese Family Practices : Significance and Compilation of Chinese Family Source Book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기획 주제의 발굴과 연구 영역의 확대: 중국 근대사 연구

Excavating Special Topics and Expanding Research Areas: Modern Chinese Histo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朝鮮時代 士大夫 遊覽의 慣行 硏究

A study on the customary practice of Sadaebu’s(士大夫) travel in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民國時期 ‘親屬會議制度’와 전통관행의 衰落과 更生

民国时期的‘亲属会议制度’与式微中更生的传统习惯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20세기 전반 중국의 혼인문제를 둘러싼 법과 현실 ― 1950년 「中華人民共和國婚姻法」의 제정과 시행을 중심으로 ―

20世纪上半叶围绕中国婚姻问题的法与现实 ― 以1950年《中华人民共和国婚姻法》的制订和施行为中心 ―

중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1 | 중국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