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하기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4001

한자 :
영어 : storytelling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스토리텔링 () [storytelling]

An Analysis of the Autobiographies of the Massacre Victims' Bereaved Families in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A Storytelling of Family as Accusation Politics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유족의 자서전 분석: 고발의 정치로서 가족이야기 하기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2 | 2012 | 기타역사일반

한나 아렌트의 ‘사유하는 시민’과 도덕교육적 방법

A Thinking Citizen of Hannah Arendt and Moral Education Method

윤리교육연구 | 28 | 2012 | 윤리교육학

미완의 만보자 —도시의 시선으로「군중의 남자」읽기

The Unfulfilled Journey of a Flâneur: Reading “The Man of the Crowd” through the Eyes of the 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미완의 만보자 —도시의 시선으로「군중의 남자」읽기

The Unfulfilled Journey of a Flâneur: Reading “The Man of the Crowd” through the Eyes of the 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인격과 스캔들-임종국의 역사서술과 민족주의

Personality and Scandal - Im Jongkuk' hisorical description and nationalism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초등『도덕』이야기 형식의 예화 분석 - ‘갈등’ 모티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Exemplary Narratives of Story Format in Elementary『Moral』 - Focused on 'Conflict' Motif -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정체성과 자율성을 찾기 위한 여성들의 몸부림

Woman's Struggle to Attain Autonomy and Identity in 'Night, Mother by Marsha Norman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정체성과 자율성을 찾기 위한 여성들의 몸부림

Woman's Struggle to Attain Autonomy and Identity in 'Night, Mother by Marsha Norman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지방자치단체의 예술지원에 관한 고찰: 부천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스토리텔링

Arts Support Policy of Local Government: Focused on Bucheon Philharmonic Orchestra

지방정부연구 | 14 | 3 | 2010 | 행정학

지방자치단체의 예술지원에 관한 고찰: 부천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스토리텔링

Arts Support Policy of Local Government: Focused on Bucheon Philharmonic Orchestra

지방정부연구 | 14 | 3 | 2010 | 행정학

실코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통해서 재현되는 현대 미국 원주민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Native Americans Represented by Various Stories of Leslie Marmon Silko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실코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통해서 재현되는 현대 미국 원주민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Native Americans Represented by Various Stories of Leslie Marmon Silko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게리 팩의 『종이비행기』에 나타난 하와이 공간의 재현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Hawaii in Gary Pak’s A Ricepaper Airplan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게리 팩의 『종이비행기』에 나타난 하와이 공간의 재현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of Hawaii in Gary Pak’s A Ricepaper Airplan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한나 아렌트의 ‘정신적 왕래’와 정치적인 것: 정치와 문학예술 사이에서

The Spiritual Correspondences and the Political in Hannah Arendt: Between Politics and the Literary Arts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나 아렌트의 ‘정신적 왕래’와 정치적인 것: 정치와 문학예술 사이에서

The Spiritual Correspondences and the Political in Hannah Arendt: Between Politics and the Literary Arts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드라마를 통한 초등학생의 도덕적 공동체 구성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into Elementary Children's Experiences of Shaping Moral Community with Educational Drama

초등도덕교육 | 32 | 2010 | 윤리교육학

드라마를 통한 초등학생의 도덕적 공동체 구성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into Elementary Children's Experiences of Shaping Moral Community with Educational Drama

초등도덕교육 | | 32 | 2010 | 윤리교육학

왜 그리고 어떤 서사적 접근의 도덕교육이어야 하는가?: 서사와 도덕 생각하기

Why and How B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Narrative and Moral Thinking

도덕교육연구 | 24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됨의 의미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교사는 스스로의 언어로 아동과의 대화적 삶을 이야기하고 살아내는 만큼 존재한다.

A qualitative inquiry into an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becoming a teacher:I exist as I storytell and storylive dialogical life with my language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됨의 의미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교사는 스스로의 언어로 아동과의 대화적 삶을 이야기하고 살아내는 만큼 존재한다.

A qualitative inquiry into an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becoming a teacher:I exist as I storytell and storylive dialogical life with my language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이야기 생성과 표현을 통한 문법 수업 연구

A Study on Grammar Teaching-Leaning Employing the Method of Storytelling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