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방언

연구분야 : A11011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방언학(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4046

한자 : 中部方言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기도 () [ 京畿道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서울 () [Seoul]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한국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역 방언 [ 地域方言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강원도 방언 [ 江原道方言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충남 방언 () [ 忠南方言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기 방언 () [ 京畿方言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마찰음화 [ 摩擦音化 ]

‘홀-’, ‘홑-’과 관련된 낱말들의 변화에 대하여

On the Changes of Words Related to ‘hol-’, ‘hot-’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홀-’, ‘홑-’과 관련된 낱말들의 변화에 대하여

On the Changes of Words Related to ‘hol-’, ‘hot-’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평 : 鄭源石․徐潤煥 編(2010), ≪咸興地方方言集≫

A review : Wonseok Jeong & Yunhwan Seo's Hamheung Dialect Dictionary(2010)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