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변동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클래스 : 변천/과정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4658

한자 : 海水面變動
영어 : sea level change

b02-04 변천/과정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해면 변화 [ 海面變化 ]

UF (비우선어)

 

 

해수면 변화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온실 효과 [ 溫室效果 ]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함평만의 간석지 해안지형의 변화

The Changing Process of the Tidal Landforms in Hampyeung Bay, Southwest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Holocene 자연환경과 한반도 중서부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변화

Changes in the Holocene Environmental and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Central-western Korea

한국신석기연구 | 2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