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강『성무애락론』을 통해 본 전통극의 감정소통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Traditional Theatre through『Sheng-wu-ai-lo-lun』by Hsi K’ang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혜강『성무애락론』을 통해 본 전통극의 감정소통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e Traditional Theatre through『Sheng-wu-ai-lo-lun』by Hsi K’ang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다매체 시대의 퍼포먼스 공간의 경험양식과 상호매체성
Mode of Experience & Intermediality of Performance Space in the Multi-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다매체 시대의 퍼포먼스 공간의 경험양식과 상호매체성
Mode of Experience & Intermediality of Performance Space in the Multi-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미완성 ‘서사극’의 필름 느와르: 프리츠 랑의 반나치 영화 <사형집행인도 죽는다> 분석
‘Verfremdungseffekt’ und Hangmen Also Die! von Fritz Lang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아주 의심스러운” “옛 이야기”: 「페리클레스」와 「겨울 이야기」에서의 생소화 효과
“An Old Tale” “In Strong Suspicion”: ‘Alienation’ Effect in Shakespeare's Pericles and The Winter’s Tale
Shakespeare Review |
48 |
1 |
2012 |
영어와문학
Dance of Death: A Gestic Critical Approach to Ogu by Yun-Taek Lee
죽음의 무도: 이윤택의『오구』에 대한 게스투스 비판적 접근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Dance of Death: A Gestic Critical Approach to Ogu by Yun-Taek Lee
죽음의 무도: 이윤택의『오구』에 대한 게스투스 비판적 접근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생소화 효과와 탈신화화 - 파스빈더의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을 중심으로
Verfremdungseffekt und Entmythisierung - im Bezug auf Die Ehe der Maria Braun von R. W. Fassbinder
헤세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생소화 효과와 탈신화화 - 파스빈더의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을 중심으로
Verfremdungseffekt und Entmythisierung - im Bezug auf Die Ehe der Maria Braun von R. W. Fassbinder
헤세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