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문제 인식 유도를 위한인지 부조화 발문 전략
Questioning Strategies of Cognitive Dissonance for Inducing the Recognition of Moral Problem
윤리교육연구 |
26 |
2011 |
윤리교육학
아마티아 센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민주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A Critical Examination of Amartya Sen’s Comparative Perspective of Justice: Focusing on His Concept of Democracy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이상론과 비이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 존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l Theory and Non-Ideal Theory: Focusing on John Rawls’s Theory of Justice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도덕성 발달 연구를 위한 역량중심 접근의 개념화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identifying moral competence
인간발달연구 |
18 |
2 |
2011 |
기타사회과학
도덕과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Issues and Task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도덕적 창의성 개념의 도덕 심리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oral Creativity Concept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Moral Psycholog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31 |
2010 |
교육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
31 |
2010 |
교육학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
New Trends in Moral Psychology and their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 Focusing on J. Haidt's neuroscientific research -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니체의 도덕 심리학적 도덕 비판
Nietzsche’s Moral Psychology as a critique of morality
니체연구 |
2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