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절

연구분야 : A0702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윤리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525

한자 : 士小節

y02-01 문헌명

저작자

이덕무 (李德懋)

장르/유형

수신서 (修身書)

저작년_t

177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청장관전서 [ 靑莊館全書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관념유희

루소와 이덕무의 여성교육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men Education Perspective between Rousseau and Lee Deok Moo

한국교육논단 | 9 | 1 | 2010 | 교육학

루소와 이덕무의 여성교육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men Education Perspective between Rousseau and Lee Deok Moo

한국교육논단 | 9 | 1 | 2010 | 교육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Discourses of Emotions and their Metaphysics during the 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Joseon Literari's Writings written in Hanmun (Chinese Script)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율곡교육사상의 전승과 변용 - 「격몽요결」을 중심으로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of Yulgok in the late Choseon dynasty - focusing on「Gyeokmongyogyeo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士小節』의 청소년예절교육론

Research on Sasojeol(士小節)'s Youth Etiquette Education Theory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士小節』의 청소년교육론 연구

A Study on the Youth Education Theory of 『Sa So Jeol(士小節)』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士小節』의 초학교재로의 변화과정 연구

A Study on Transition of Sasojeol to Textbook for Elementary Education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