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 교육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5277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식민지 교육 [ 植民地敎育 ]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 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The Movement for Authorizing the Private Secondary School and Colonial Modern Education Field in Korea during the 1920s and 1930s

중앙사론 | 32 | 2010 | 역사학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 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The Movement for Authorizing the Private Secondary School and Colonial Modern Education Field in Korea during the 1920s and 1930s

중앙사론 | 32 | | 2010 | 역사학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Education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Making the Nation’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교육정책의 원점 : 이자와 슈지의 동화주의와 청각적 근대성

The ‘Primal Scene’ of Colonial Education Policy in Japanese Empire: Izawa Shuzi, Assimialtion, and Ensoniment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왕인 관련 사료와 전승 검토: 식민 교육과 주체성 교육 문제

A Study on the Documents and Legend of Doctor Wang In: Focused on the Problem of Colonial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y Education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보호국 및 식민지 초기 일본의 조선교육정책에 대한 일본학계의 연구 경향 -本間千景, 『韓國 「倂合」前後の敎育政策と日本』 (佛敎大學硏究叢書, 思文閣出版, 2010)을 중심으로-

Japanese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Policy in Chosŏn during the Protectorate and Early Colonial Period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보호국 및 식민지 초기 일본의 조선교육정책에 대한 일본학계의 연구 경향 -本間千景, 『韓國 「倂合」前後の敎育政策と日本』 (佛敎大學硏究叢書, 思文閣出版, 2010)을 중심으로-

Japanese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Policy in Chosŏn during the Protectorate and Early Colonial Period

한국사연구 | | 15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