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 교육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5295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심미 교육 () [ 審美敎育 ]

예술과 자연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 : I. 칸트, J. G. 하만, F. 실러의 미학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Relevant Relation Between Arts and Nature : Focused on Aesthetic Theories of Kant, Hamann and Schiller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쉴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 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Methods of Aesthetic Education on the Basis of Schiller

미술교육연구논총 | 32 | 0 | 2012 | 예술교육학

Schiller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의 한계와 새로운 접근

A critical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and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n Schill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s』

교육원리연구 | 16 | 1 | 2011 | 교육학

미적 교육과 인성 교육과의 연관성 연구 - ‘쉴러’와 ‘장자’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 with F. Schiller and Chuang Tzu as the central figure -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

미적 교육과 인성 교육과의 연관성 연구 - ‘쉴러’와 ‘장자’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 with F. Schiller and Chuang Tzu as the central figure -

미술교육연구논총 | 28 | 0 | 2010 | 예술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