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The Study for the Urban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on the Mountain Towns in Busan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The Study for the Urban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on the Mountain Towns in Busan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지리학과 지리교육이 문학에 접근하는 방식
How Do Geography and Education ofGeography Approach to Literatures?
문학교육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시장소와 첨단기술이 어우러진 첨단문화장소 조성계획 - 상암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 계획을 중심으로
Augmented Place Making by the Convergence of Urban Place and Digital Media - Focused on the Planning for Sangam Digital Media Street
도시설계 |
12 |
4 |
2011 |
도시개발/계획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Placemaking Strategies Towar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Incheon Old Downtown Area
도시설계 |
11 |
5 |
2010 |
도시개발/계획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Placemaking Strategies Towar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Incheon Old Downtown Area
도시설계 |
11 |
5 |
2010 |
도시개발/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