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연구분야 : B1208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사회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5706

한자 : 敎育福祉于先支援事業
영어 :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d02-01 사회제도

목적_o1

교육 평등 (敎育平等)

목적_t

저소득층 아동과 청소년들의 실질적인 교육기회를 보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교육 복지 투자 우선 지역 지원 사업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개념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교육 복지 투자 우선 지역 () [ 敎育福祉投資優先地域 ]

RT_X (관련어►)

관련 대상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저소득층 가정 아동 () [ 低所得層家庭兒童 ]

R2:기능적

isSolutionFor (대상 문제/이슈)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교육 격차 해소 () [ 敎育隔差解消 ]

교육복지실의 의미에 드러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D고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Roles of the Community Educator in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Project

학교사회복지 | 21 | 2011 | 사회복지학

지역사회의 교육불평등(educational inequality) 해소를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의 탐색 : 대구‧경북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Setting a Policy Priority for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 An AHP Analysis of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Project’

한국행정논집 | 23 | 4 | 2011 | 행정학

우리나라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의 우선순위 설정: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Borich 요구도 분석(Needs Analysis)

Setting the policy priority to tackle educational inequality: An application of Borich's Needs Analysis

한국정책연구 | 12 | 3 | 2012 | 기타행정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빈곤청소년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Welfare Support Program:Focusing on the Self-Efficacy of Poverty Youth

한국공공관리학보 | 26 | 3 | 2012 | 사회과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혁에 대한 평가와 과제 - 충청북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영유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olicy - the Case of Chungcheongbuk-Do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8 | 2011 | 사회복지학일반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a Broader Sense of The Prospective Welfare-State -Focusing on Esping-Anderson’s Typology of Welfare-State-

한국아동복지학 | 36 | 2011 | 사회복지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 welfare Support Program in Korea

학교사회복지 | 21 | 2011 | 사회복지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가정의 부정적 기능 완화 효과: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on Alleviating Negative Functions of Families: Primary School Students’ Sociability and their Adjustment

한국교육 | 38 | 4 | 2011 | 교육학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한 학생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Students through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사회과학연구 | 28 | 1 | 2012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