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峰 奇大升의 人間學 考察
An Study on the Gi Gobong's the view of Human being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구곡문화의 전승과 이상정의 고산구곡 경영
The Introduction of 'Nine River Bend Culture' into Korea and Lee Sang Jeong's Management of 'Kosan Seven River Bend' in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산림치유에 대한 도가양생방면의 고찰
从道家養生方面来考察山林疗法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太極圖의 연원과 도상학적 세계관 - 진단의 무극도와 주돈이의 태극도를 중심으로 -
The Origin of Taiji Diagram and its Iconological World-view - Focused upon Chen Tuan's Wuji Diagram and Zhou Dunyi's Taiji Diagram
유교사상문화연구 |
47 |
2012 |
유교학
李穡과 金宗直의 「觀魚臺小賦」와 「觀魚臺賦」 攷
A study on Leesaek and Kimjongjik's 「The poetical prore of a tableland of looking on fishes」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도교의 관점에서 살펴본 동학의 사상과 수행 : 도교 내단(內丹) 및 부주(符呪) 수행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Rethinking Donghak in the perspective of Chinese Daoism in pre-modern period
동학학보 |
20 |
2010 |
역사학
중국도교의 관점에서 살펴본 동학의 사상과 수행 : 도교 내단(內丹) 및 부주(符呪) 수행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Rethinking Donghak in the perspective of Chinese Daoism in pre-modern period
동학학보 |
|
20 |
2010 |
역사학
曺植의 태극도와 그 性理學的 세계관
Jo Sik's Diagram of Supreme Ultimate and Its Confucian World-view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권근의 주리적·인도관 연구
关于权近主理之天·人道观的硏究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
장재와 서경덕의 우주론 -개천설에서 혼천설로-
Zhang Zai & Seo Kyoungduk's Cosmology: From the canopy sky theory to the ether (chi) sky theory
철학사상 |
44 |
2012 |
철학
공자의 부활과 유학의 현대적 의의
孔子的复活与儒學的現代意义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8 |
2011 |
유교학
유가 예교의 우주적 이상(理想)과 그 교육적 함의: 천(天), 성인(聖人), 예(禮)의 관념을 중심으로
儒家禮敎的宇宙的理想與其敎育內涵 - 以“天”、“聖人”、“禮”爲中心-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심미의식과 도덕적 지향의 통합: 퇴계의 수양여가론
Integra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Moral Spirit: In Case of T'oegye
사회사상과 문화 |
23 |
2011 |
사회학
천인관계로 살펴본 천도교 영성의 의미와 성격
On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Spirituality in Chondo-gy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종교교육학연구 |
36 |
2011 |
종교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性善說의 메타-윤리학적 구조 ― 성리학의 도덕적 자연주의 해석을 위한 시론 ―
A Meta-Ethical Framework of the Theory of Natural Goodness ― An Attempt to interpreting the Philosophy of Zhu Xi in terms of Moral Naturalism ―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退溪 讀書法 속의 天과 人
Chun(天) and In(人) in the Reading Method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王禹偁의 ‘臺閣名勝記’ 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王禹偁의 ‘臺閣名勝記’ 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yungryudo(風流道)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yungryudo(風流道)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 - 성(誠)과 성실(誠實)을 중심으로-
关于儒学“天人合一”思想的现代诠释: 以“诚”和“诚实”为中心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8 |
2011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