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시도

연구분야 : E150203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 자기심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848

한자 : 自殺試圖
영어 : attempt of committing suicid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자살 생각 () [ 自殺--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자살 () [ 自殺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노인 자살 [ 老人自殺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자살 의도 [ 自殺意圖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자해 행위 [ 自害行爲 ]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살의도, 시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uicide intention. attempt of adolescent

소년보호연구 | 19 | 2012 | 형사정책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34 | 2010 | 사회복지학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 34 | 2010 | 사회복지학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on Attempted Suicide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한국노년학 | 30 | 2 | 2010 | 사회복지학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on Attempted Suicide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한국노년학 | 30 | 2 | 2010 | 사회복지학

노인의 자살시도 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Old Age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노인의 자살시도 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Old Age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자살시도 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ldiers Who Actually Attempted Suicide

상담학연구 | 13 | 1 | 2012 | 교육학

자살시도 전력이 후속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자살에 대한 태도의 매개모형 검증을 통한 예방접종 메시지 전략의 모색

Effects of Suicidal Attempt on Subsequent Suicidal Risk: Testing Mediation Model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earching for Inoculation Message Strategies

보건과 사회과학 | 30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