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과 성性의 통합: 유심론와 성차별주의의 이원론을 넘어 —몸Body, 성별Gender, 성Sexuality에 관한 여성주의자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Integrating Spirituality and Sexuality
신학과 선교 |
39 |
2011 |
기독교신학
바울의 고난과 교회의 하나됨: 고린도전서 4장 6-13절을 중심으로
Pauline Suffering and Church’s Unity (1Cor 4:6-13)
성경과 신학 |
54 |
2010 |
기독교신학
바울의 고난과 교회의 하나됨: 고린도전서 4장 6-13절을 중심으로
Pauline Suffering and Church’s Unity (1Cor 4:6-13)
성경과 신학 |
54 |
|
2010 |
기독교신학
개혁교회의 예배와 성만찬에 관한 한 연구
A Study on Worship and Eucharist of the Refromed Church
신학과 실천 |
28 |
2011 |
기독교신학
존 웨슬리의 종말론과 성화(Sanctificatio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한국교회사학회지 |
32 |
2012 |
기독교신학
예전적 설교: 말씀에 대한 예전적 접근
A Study of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Narrative(Story) in Homiletics
신학과 실천 |
26 |
2011 |
기독교신학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연합감리교회 예배의 변화 - ‘성찬 감사 기도’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United Methodist Worship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Focus on the Great Thanksgiving
신학과 실천 |
27 |
2011 |
기독교신학
‘칼빈주의’ 개념의 생성과 발전 – 16세기 후반 하이델베르그를 중심으로
Die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s Worts Calvinismus - Das Wort Calvinismus und Heidelberg im ausgehenden 16.Jahrhundert
한국개혁신학 |
27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칼빈주의’ 개념의 생성과 발전 – 16세기 후반 하이델베르그를 중심으로
Die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s Worts Calvinismus - Das Wort Calvinismus und Heidelberg im ausgehenden 16.Jahrhundert
한국개혁신학 |
27 |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요한 칼빈과 하인리히 불링거의 성만찬 일치: 《Consensus Tigurinus》
Agreement on a doctrine of Eucharist between John Calvin and Heinrich Bullinger ≪Consensus Tigurinus≫
한국교회사학회지 |
27 |
2010 |
기독교신학
요한 칼빈과 하인리히 불링거의 성만찬 일치: 《Consensus Tigurinus》
Agreement on a doctrine of Eucharist between John Calvin and Heinrich Bullinger ≪Consensus Tigurinus≫
한국교회사학회지 |
|
27 |
2010 |
기독교신학
조상제사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한국 교회 영성 형성의 과제와 관련하여 -
How Should We Understand Ancestor Worship? - A Study for the Spiritual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신학과 실천 |
30 |
2012 |
기독교신학
21세기 문화목회에 대한 비전 : ‘전통목회’에서‘문화목회’에로의 전환이 가져오는 의의와 문제 및 현대문화와 전통문화에 대한 문화목회적 대안에 대한 고찰
A Vision of the Cultural Ministry for the 21Century : Significance and Problems in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Ministry to the Cultural Ministry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예배에서의 ‘회중의 참여’에 대한 인식변화 - 설교와 성만찬 비교 연구 -
The Development of the Congregational Participation in Worship - the Comparisonal Study between Preaching and Eucharist -
신학과 실천 |
32 |
2012 |
기독교신학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피의 다양한 기능 및 종교사회적 배경
Blood in Ancient Israelite Religion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82 |
2012 |
기독교신학
어린이세례를 통한 기독교교육적 가능성 모색
Research for the Possibilities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Child Baptism
장신논단 |
41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엠마오의 식사교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Emmaus' Table Fellowship
신약연구 |
10 |
3 |
2011 |
신약학
언약적 식사로서의 주의 만찬에 관한 연구
The Lord's Supper as covent Meal
복음과 실천신학 |
23 |
2011 |
실천신학
청소년 교육에 있어서 성만찬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Communion in Youth Education
기독교교육 논총 |
30 |
2012 |
기독교교육
설교와 성만찬 찬송 시를 통해 본 존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
John Wesley's Lord's Supper in His Sermons and Hymns on the Lord's Supper
한국개혁신학 |
32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성만찬 예전예배에 대한 해석학적 차원에서 디아코니아 의미
The meaning of diakonia concerning eucharistic liturgical worship on an exegetic level
신학과 실천 |
28 |
2011 |
기독교신학
틸리케의 칼빈 해석과 수용 - 성만찬론을 중심으로
Helmut Thielicke's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of Calvin - Centered on the Eucharist
한국개혁신학 |
30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
A Theological Approach to the Eucharist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
A Theological Approach to the Eucharist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