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사전

연구분야 : A110114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전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09

STNet ID : 1001125

한자 : 韓國語辭典
영어 : Korean dictionary
기타 : 국어사전(國語辭典)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언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사전 () [ 辭典 ]

isKindOf (상위 유형)

 

 

언어 사전 () [ 言語辭典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사전학 [ 國語辭典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연세한국어사전 () [ 延世韓國語辭典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표준국어대사전 () [ 標準國語辭典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겨레말큰사전 () [ --辭典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 高麗大韓國語大辭典 ]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hyokw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옛말과 현대어의 기준 설정

An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Between Archaic Korean and Present-day Korea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말과 현대어의 기준 설정

An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Between Archaic Korean and Present-day Korea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의 뜻과 관련된 한자어의 오남용

與漢字的字意相關的韓國漢字語的誤用和濫用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현대국어의 어중 경음화 약화 현상

A Study on the Weakening Phenomenon of Word-mid Glottalization Reflected in Modern Korean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사전의 성과와 과제(6): 용례 -언어의 이해와 표현에 기여하는 사전의 편찬을 위하여-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Result and Task(6): Examples -for the dictionary that makes a contribution to understand and express language-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사전의 성과와 과제(6): 용례 -언어의 이해와 표현에 기여하는 사전의 편찬을 위하여-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Result and Task(6): Examples -for the dictionary that makes a contribution to understand and express language-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A Study on the Tables of Conjugation in Korean Dictionaries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국어사전 용언활용표의 음운론적 연구

A Study on the Tables of Conjugation in Korean Dictionaries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연세 한국어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비교 연구 ―언어사전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paring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focused on the feature of a linguistic dictionary-

한글 | 295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전 메타 용어 선정을 위한 연구-‘꼴’, ‘따위’의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for selecting meta words in dictionaries-focus on the meaning of ‘kkol’ and ‘ttawi’-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Lexical Meaning and Dictionary Definition―focusing on the polysemy of event nouns―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Lexical Meaning and Dictionary Definition―focusing on the polysemy of event nouns―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