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조선인의 만주 기행문 생성 공간 -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for Formation of Korean travelogues of Manchuria in Modern Times - focusing on 1920's-1930's -
한국문학논총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三島中洲ㆎ川北梅山ㆎ崔成大筆談録』을 중심으로
Korean-Japanese Interaction Seen through Written Conversations Involving the 1881 Official Observation Group - Focusing on the “Written Conversations among Mishima Chūshū, Kawakita Baizan, and Ch'oe sǒngdae”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三島中洲ㆎ川北梅山ㆎ崔成大筆談録』을 중심으로
Korean-Japanese Interaction Seen through Written Conversations Involving the 1881 Official Observation Group - Focusing on the “Written Conversations among Mishima Chūshū, Kawakita Baizan, and Ch'oe sǒngdae”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明·淸교체기 최초의 수로조천록
About Ka-Hae-Cho-Chun-Rok which is the first travelog via sea route by Chosun envoys in Myung-Chung Shifting period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문화학
17-18세기 中․韓 文人 間의 文化交流와 相互作用 現象 一考察
Analysis on Literary Exchange and Interaction of Chi-Korea in 17th and 18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17-18세기 中․韓 文人 間의 文化交流와 相互作用 現象 一考察
Analysis on Literary Exchange and Interaction of Chi-Korea in 17th and 18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명청중국과 조선사행의 지적교류
明淸中國與朝鮮使行的知識交流
동양사학연구 |
111 |
2010 |
역사학
명청중국과 조선사행의 지적교류
明淸中國與朝鮮使行的知識交流
동양사학연구 |
|
111 |
2010 |
역사학
필담의 문화사 ―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Cultural History of Written Conversation ―An East Asian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Late Joseon Intellectua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筆談과 唱和의 同異性 고찰 -일본 사행기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ildam and Changhwa -focusing on Japanese envoy's remarks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筆談과 唱和의 同異性 고찰 -일본 사행기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ildam and Changhwa -focusing on Japanese envoy's remarks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