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초기 독자층의 형성과 매체의 역할-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in Early Modern Era and the Modern Media-Focused on 'Korea daily new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每日申報における長型敍事物の展開構圖 -1920年代以降を中心に-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매체의 독자(讀者) 창작 참여 제도 연구(1)
近代媒体における読者創作参与制度についての研究(1)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신문계(新文界)'의 독자투고 문장
Writing Education and Classics in Classical-Chinese in 1910s: About the Correspondence Column in The World of New Culture[新文界]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중앙 일간지의 독자투고 특성 연구: 1997년∼2009년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etters-to-the-editor in Korean Newspapers: Content Analysis of Chosun Ilbo, Dong-a Ilbo, Hankyoreh, 1997-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
55 |
3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