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555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음양오행설 () [ 陰陽五行說 ]

현대 한국사회의 이름짓기 방법과 특성에 관한 고찰 ― 기복신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Naming in Modern Korean Society ― With a focus on the perspective of shamanic fortune belief ―

종교연구 | 65 | 2011 | 종교학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haracter Combination and the Ideology of Science of I Ching in Hunminjeongeum: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Yin-yang nd Five Elements & the Principles of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조선전기 왕실호위군 군기의 형태분석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Form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tandards of Royal Guards in the Earlier Half of the Choseon Dynasty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조선전기 왕실호위군 군기의 형태분석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Form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tandards of Royal Guards in the Earlier Half of the Choseon Dynasty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A Study on Philosophical Meaning of Nalmoe Drum Dance

한국무용연구 | 29 | 1 | 2011 | 기타무용

한국 춤에 내재된 사상적 배경과 미적 특성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n Korean Dance from the Viewpoint of Its Thought Background

우리춤과 과학기술 | 8 | 2 | 2012 | 무용

道詵의 裨補思想 연구 ―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oseon Guksa's 'Bibo' Thought - Chiefly on Pungsu, Docham,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antric Budddhism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道詵의 裨補思想 연구 ― 풍수⋅도참⋅음양⋅오행⋅밀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oseon Guksa's 'Bibo' Thought - Chiefly on Pungsu, Docham,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antric Budddhism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권무의 무무(舞武)적 가치 탐색

An Exploration on Matial-dance Value in Taekwonmoo

한국무용연구 | 28 | 1 | 2010 | 기타무용

태권무의 무무(舞武)적 가치 탐색

An Exploration on Matial-dance Value in Taekwonmoo

한국무용연구 | 28 | 1 | 2010 | 기타무용

상징적 이미지의 구조와 생성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여신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reation of a Symbolic Image - Focusing on the Image of God·Goddesses in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상징적 이미지의 구조와 생성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여신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reation of a Symbolic Image - Focusing on the Image of God·Goddesses in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한국무용에 내재된 색채의 의미

The color meaning of immanent in Korean danc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발효음식과 연금술적 상상력-음양오행과 감칠맛의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Les Aliments Fermentés et l’imagination Alchimique - Recherche axée sur Yin-Yang et le goû̂t kamch’ilmat-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발효음식과 연금술적 상상력-음양오행과 감칠맛의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Les Aliments Fermentés et l’imagination Alchimique - Recherche axée sur Yin-Yang et le goû̂t kamch’ilmat-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풍수지리와 한국의 대중소설: 유현종의 『사설 정감록』을 중심으로

Feng Shui and Popular Fiction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바다」 연작시에 나타난 수(水)의 상상력

Imagination of Water Represented in Poetry Series ‘Ocean’ by Jeong Ji-Yong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命理體質醫學에 관한 연구 -『黃帝內經』 체질론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ìnglǐ Constitutional Medicine -Focused on Interrelationship with Huángdìnèijīngtǐzhì Theory-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한국춤 동작구조와 형상 분석을 위한 철학적 방법 - 음양·오행의 시·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韓國舞蹈的動作構造與形象分析的哲學性方法 ―以陰陽、五行的時、空間意義爲中心―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이제마 사상설의 철학적 근거

李濟馬四象說的哲學根據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회남자』의 時令사상과 음양오행론

A study for the 'Ruling with times-theory'(時令)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陰陽五行論) in Huainanzu(淮南子)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회남자』의 時令사상과 음양오행론

A study for the 'Ruling with times-theory'(時令) and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陰陽五行論) in Huainanzu(淮南子)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음양오행에 근거한 한국무용의 치료적 기능에 관한 연구

The Therapeutic Functions of Korean Dance Based on Yin & Yang and the Five Elements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9 | 69 | 2011 | 무용

국악을 활용한 음악치료 연구 중 음양오행(陰陽五行)관련 연구 성과 검토

The Review of Studies Based on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 Music Therapy Studies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